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청와대 집무실에 일자리 상황판을 설치하면서 핵심 공약인 일자리 확대를 위한 강한 의지를 다시 한번 드러냈다. 문 대통령은 취임 첫날 ‘1호 업무지시’로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구성을 지시한 데 이어 취임 14일 만에 상황판 설치까지 마무리했다. 대선 기간 “당선되면 일자리위원회를 설치하고 집무실에 상황판을 만들어 매일 점검하겠다”고 한 공약을 실천한 것이기도 하다.
문 대통령은 오전 청와대 여민관 3층의 집무실에서 열린 시연 행사에서 이용섭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 등 참모진을 향해 “일자리 정책이 최고의 성장전략이며 복지정책이라는 점을 명심하고 각 부처와 지자체, 민간 부문과 협력해 일자리 창출에 최선을 다해주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이어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를 구성하고 상황판을 설치해 점검하겠다는 공약은 지킨 것”이라면서도 “이 약속이 중요한 게 아니라 성과, 실적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일자리 창출은) 속도전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 고달프더라도 바쁘게 해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이 부위원장은 “(상황판 설치로) 대통령께서 매일 일자리 지표를 보면서 살아있는 대책을 지시할 수 있어 일자리 정책이 더 속도를 낼 것”이라고 답했다. 또 “상황판이 정착되면 국민들이 인터넷이나 모바일로 대통령 집무실의 상황판을 함께 볼 수 있도록 개방하는 방안도 추진하겠다”고 했다.
일자리 상황판은 ‘일자리 양은 늘리고, 격차는 줄이고, 질은 높인다’는 문재인정부의 일자리정책 방향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특히 상황판 메인화면을 통해 민간·공공일자리,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청년고용, 창업 등 문재인정부의 4대 일자리정책 현황을 실시간 점검할 수 있게 했다. 이 중 집권 초기에 성과를 낼 수 있는 공공부문 일자리 확대가 일자리정책의 우선 과제로 실시될 가능성이 높다.
문재인정부의 공공일자리 확대는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와 홍남기 국무조정실장, 이정도 청와대 총무비서관 등 ‘예산통’ 인사들이 앞서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들은 과거 노무현정부의 기획예산처와 청와대 정책실 등에서 함께 호흡을 맞췄던 사이다. ‘일자리와 소득이 늘면 소비도 늘어 경제선순환을 이룬다’는 소득주도 성장을 주창해온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과 김수현 청와대 사회수석, 현재 공석인 초대 고용노동부 장관 등도 이를 뒷받침할 예정이다.
한편 청와대는 이날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산하 국민인수위원회가 출범했다고 밝혔다. 국민 의견을 청취하기 위한 온·오프라인 소통창구인 ‘광화문 1번가’도 설치했다. 국민인수위는 100일간 국민 제언 등을 청취하고 논의한 뒤 문 대통령이 직접 참석하는 대국민 보고대회를 갖는다. 국민과 정부 사이 가교역할을 맡는 소통위원으로는 KBS의 첫 여성 장애인 앵커인 홍서윤(30) 아나운서와 정신과 전문의 서천석(48) 마음연구소 소장이 위촉됐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공공일자리 확대 ‘예산통’이 끌고 ‘소득주도 성장’ 라인이 민다
입력 2017-05-25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