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금융 리스크로 가계부채와 북핵 위협, 미국의 금리 인상 등이 꼽혔다. 대외채무에서 차지하는 단기외채 비중도 소폭 상승했지만 대외건전성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24일 국내외 금융기관 전략 및 리스크 담당 임원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 금융시스템 리스크 요인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중복 응답을 허용한 상황에서 가계부채 문제가 85%를 차지해 리스크 1위로 꼽혔다. 이어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리스크를 꼽은 응답이 71%를 기록했다. 지정학적 리스크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과 사드 배치로 인한 중국과의 갈등을 의미한다. 이외에 미 연준의 금리 인상과 보유자산 축소(63%),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기조 강화(51%), 취약업종 기업 구조조정(44%) 순이었다. 이 중 지정학적 리스크와 연준의 금리 인상 등은 1년 이내 단기간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단기외채 비중도 소폭 늘어났다. 한은과 기획재정부는 이날 3월 말 기준 국제투자대조표를 집계해본 결과 한국의 대외채무가 4057억 달러로 전년 말 대비 247억 달러 늘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대외채무에서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중도 1분기 말 28.4%를 기록해 지난해 말보다 0.8% 포인트 늘어났다. 한은 관계자는 “2007년 1분기 당시 단기외채 비중이 53.6%를 차지했던 것에 비하면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
국내 최대 금융리스크 가계빚·북핵·美 금리
입력 2017-05-24 18:33 수정 2017-05-24 2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