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영조 때 그림 속 얼룩삽살개 복제

입력 2017-05-24 20:57
24일 대전 중구 오월드에서 체세포 복제방식으로 태어난 얼룩삽살개 첫째와 둘째가 공개됐다. 충남대 김민규 교수팀은 조선 영조때 궁중화가였던 김두량이 그린 그림 속의 얼룩삽살개를 체세포와 난자 융합방식으로 복제했다. 아래 사진은 김두량이 1743년에 그린 얼룩삽살개 그림. 뉴시스

조선 영조 때 궁중화가였던 김두량(金斗樑)이 그린 그림(1743년작) 속의 얼룩삽살개가 체세포복제에 성공해 일반에 공개됐다.

대전 오월드는 24일 어린이동물원 전시장에서 충남대 동물자원과학부 김민규 교수팀으로부터 얼룩삽살개를 기증받아 관람객에게 처음 공개했다. 김 교수팀에 의해 복제된 단모(短毛) 얼룩삽살개는 매우 희귀한 종류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삽살개는 대부분 장모(長毛)견으로 단모견은 전체의 약 3%에 불과하다.

특히 그림에 등장하는 단모 얼룩 삽살개는 통계를 내기 어려울 만큼 드문 확률로 태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 삽살개 재단은 10여년 전 수컷 얼룩 삽살개가 태어나자 번식을 시도했으나 실패했었다.

김 교수팀은 삽살개 재단으로부터 이 삽살개의 체세포를 받아 난자제공견의 난자에 주입하는 방식으로 난자와 수컷의 세포를 융합시킨 뒤 대리 모견에 이식해 복제에 성공했다.

공개된 얼룩삽살개는 지난 2월에 태어난 수컷 2마리로 그동안 연구팀의 보호를 받았으나 4개월을 넘기며 환경적응력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돼 오월드에 기증이 결정됐다. 김 교수팀은 암컷 얼룩삽살개도 복제해 자연스럽게 번식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삽살개는 예부터 액운을 막고 복을 부르는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1992년 천연기념물 368호로 지정돼 보호 중이다.

대전=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