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원전·화력발전소 등 발전소 건설문제가 뜨거운 감자로 부상하고 있다. 대규모 발전소 건설이 지역경제를 회생시킬 기회라는 긍정적인 의견과 환경과 안전 문제를 감안할 경우 타당하지 않다는 의견이 충돌하며 갈등을 빚고 있는 것이다.
신고리 원전 5·6호기가 들어설 예정인 울주군 서생면 주민들은 신규 원전건설을 백지화한다는 새 정부 공약이 생존권을 위협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24일 울주군과 서생면주민협의회(이하 협의회)에 따르면 협의회는 이날 총회를 열고 투쟁방침과 대책을 숙의했다. 이상대 협의회장은 “정부 방침이 확정되지 않은 만큼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은 채 세부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고리 5·6호기 건설부지에 편입돼 이주를 앞두고 있는 손봉락 신리마을대책위원회장은 “집단이주와 보상문제를 놓고 한국수력원자력과 협의 중인데 이제 와서 없던 사업으로 하겠다고 하면 우리더러 어쩌라는 거냐”며 “주민들의 원성이 높다”고 전했다.
원전 건설이 중단될 경우 자율유치에 따른 지역상생지원금 1500억원 집행이 중단되고, 2년 이상 건설 중단시 특별지원금(1634억원)과 기본지원금, 사업자지원금(매년 50억원) 등 1조원 가량의 법정지원금이 줄어든다. 공사에 투입된 관련기업들의 막대한 손해는 지역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신고리 5·6호기는 지난해 6월 공사를 시작했다. 현재 공정률은 28%로, 총사업비 8조 6000억원 중 4조 5000억원의 계약이 확정돼 1조5000억원이 이미 집행된 상태다.
강원도 강릉과 삼척지역에선 추진 중인 화력발전소 건설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백지화 강릉범시민대책위원회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강릉에코파워가 강동면 안인리에 추진 중인 화력발전소 건설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책위는 “문재인 대통령은 30년 이상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일시 가동 중단과 미착공 및 공정률 10% 미만 선탁화력발전소 건설중단을 약속했다”며 “안인 화력발전소는 미착공 발전소로 건설 중단 및 원점 재검토 사안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건설 중단과 백지화가 늦어질수록 피해와 혼란은 더 커질 것”이라며 “강릉시와 에코파워는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즉각 중단하고 백지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삼척지역에서도 포스파워가 적노동 일원에 추진 중인 석탄화력발전소 백지화 운동이 진행되고 있다. 삼척지역 시민단체들은 지난달 20일 삼척시와 포스코에너지·포스파워가 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해역이용 관련 협약 합의서를 체결하자 본격적인 반대운동에 들어갔다.
삼척석탄화력발전소건설반대 범시민연대는 “발전소 가동 시 파생되는 문제점은 그 어떠한 노력으로도 되돌릴 수 없다”며 “삼척 화력발전소 건설 중단을 문 대통령이 대선공약으로 약속한 만큼 반드시 백지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울산·강릉=조원일 서승진 기자 wcho@kmib.co.kr
“지어라” “말아라” 벌집 쑤신 발전소 논란
입력 2017-05-25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