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24일 중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Aa3에서 A1으로 한 단계 강등했다. A1은 한국(Aa2)보다 두 단계 아래 등급이다. 무디스가 중국 신용등급을 내린 것은 1989년 천안문 시위 직후 A3에서 Baa1으로 하향 조정한 이후 처음이다.
무디스가 설명한 강등 배경은 부채 증가와 경제성장률 둔화, 재무건전성 악화다. 무디스는 성명에서 “중국경제 전반의 레버리지(차입)가 향후 몇 년간 더 늘어날 것”이라며 “예정된 개혁이 레버리지 증가 속도를 늦출 수는 있겠지만 막을 수는 없다”고 평가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2008년 160%에서 지난해 말 260%로 급증했다. 경제성장률은 2010년 10.6%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며 지난해 6.7%까지 떨어졌다. 무디스는 향후 5년 중국의 잠재성장률이 5.0%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무디스의 신용등급 강등은 예고된 것이었다. 지난해 3월 무디스가 중국의 국가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낮췄기 때문이다. 무디스는 이번 신용등급 조정과 함께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추가적인 등급 강등은 없을 것임을 시사했다. 중국정부의 구조 개혁이 진행되면서 금융 분야의 리스크가 일정 부분 해소될 수 있다는 기대 때문이다.
신용등급 강등에도 불구하고 상하이 종합주가지수는 한때 1% 이상 하락하다 소폭 상승 마감하는 등 금융시장은 큰 충격을 받지 않는 모습이다. 크리스토퍼 볼딩 중국 인민대 HSBC 경영대학원 교수는 “무디스의 신용등급 강등이 중국에 심리적 타격을 줄 수 있지만 중국 부채의 대부분이 국가와 국유기업의 것이어서 당장 전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심각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중장기적으로 중국 기업들이 글로벌시장에서 새로 자금을 조달하거나 부채를 상환하는 능력이 약화되면서 위안화 환율과 중국경제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전망이 많다. 중국 재정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무디스가 부당한 평가방법에 기초해 평가했다고 반발했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中 신용등급 한단계 강등
입력 2017-05-24 18:35 수정 2017-05-24 2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