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씁쓸한 일” vs 홍준표 “MB 탓”… 4대강 갈등 격화

입력 2017-05-24 05:00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가 23일 서울 종로구 금융감독원연수원의 사무실로 출근하면서 기자들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이 후보자는 24일부터 이틀간 국회 인사청문회에 참석한다. 뉴시스
정우택 자유한국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가운데)가 2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정 원내대표는 문재인 대통령의 4대강 사업 감사 지시를 한풀이식 보복 아니냐고 주장했다. 뉴시스
■ 이낙연 “정권 따라 감사 결과가 달라지는 것은 몹시 씁쓸한 일”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는 23일 4대강 사업 감사결과에 대해 “감사가 정부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 자체가 몹시 씁쓸한 일”이라고 밝혔다.

이 후보자는 서울 종로구 금융감독원연수원 출근길에 ‘앞선 4대강 감사결과가 상이했는데 어느 것이 맞는 것 같으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지금까지 4대강 사업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점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재인 대통령의 4대강 감사 지시와 관련한 입장 요청에는 “필요한 일이니까 결정하신 것 아니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4대강 사업의 성과에 대해선 “수량의 확보와 자전거길, 이 두 가지는 의미 있었는데 나머지 수질 이런 것은 나빠졌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어느 것이 본질인가를 생각해보면 자전거길은 본질이 아니다”며 “수질 문제를 (자전거길과) 동일선상에 놓고 긍정적이었냐고 말한다면 실망스럽다”고 덧붙였다. ‘수량과 수질 중 무엇이 본질이냐’는 질문에도 “수량도 고려사항이지만 수질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이 후보자는 2009년 12월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장 시절 4대강 사업으로 분류된 농업용 저수지 둑 높이기 사업을 정부 원안대로 통과시켜 민주당 내에서 비판을 받은 전력이 있다. 4066억원의 사업비 중 700억원을 4대강이 아닌 다른 곳의 농업용 저수지 예산으로 돌리는 중재안을 마련한 것이었지만 당 내에선 ‘엇박자’ 논란이 일었다.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도 KBS라디오에 출연해 “새로운 정부가 (4대강 사업을) 조사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치보복이라고만 이야기하는 건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문재인정부의 출발은 촛불의 요구였고, 그중에는 4대강의 근본적인 감사와 조사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는 24∼25일 이틀간 국회에서 진행된다. 청문회를 앞둔 소회와 관련해 이 후보자는 “국정 전반을 집약적으로 공부하다 보니 어제는 피로해서 일찍 퇴근했다”며 “최근 몇 십년 사이 초저녁부터 아침까지 잔 것은 어제가 처음”이라고 말했다.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는 23일 4대강 사업 감사결과에 대해 “감사가 정부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 자체가 몹시 씁쓸한 일”이라고 밝혔다.

이 후보자는 서울 종로구 금융감독원연수원 출근길에 ‘앞선 4대강 감사결과가 상이했는데 어느 것이 맞는 것 같으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지금까지 4대강 사업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점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재인 대통령의 4대강 감사 지시와 관련한 입장 요청에는 “필요한 일이니까 결정하신 것 아니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4대강 사업의 성과에 대해선 “수량의 확보와 자전거길, 이 두 가지는 의미 있었는데 나머지 수질 이런 것은 나빠졌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어느 것이 본질인가를 생각해보면 자전거길은 본질이 아니다”며 “수질 문제를 (자전거길과) 동일선상에 놓고 긍정적이었냐고 말한다면 실망스럽다”고 덧붙였다. ‘수량과 수질 중 무엇이 본질이냐’는 질문에도 “수량도 고려사항이지만 수질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이 후보자는 2009년 12월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장 시절 4대강 사업으로 분류된 농업용 저수지 둑 높이기 사업을 정부 원안대로 통과시켜 민주당 내에서 비판을 받은 전력이 있다. 4066억원의 사업비 중 700억원을 4대강이 아닌 다른 곳의 농업용 저수지 예산으로 돌리는 중재안을 마련한 것이었지만 당 내에선 ‘엇박자’ 논란이 일었다.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도 KBS라디오에 출연해 “새로운 정부가 (4대강 사업을) 조사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치보복이라고만 이야기하는 건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문재인정부의 출발은 촛불의 요구였고, 그중에는 4대강의 근본적인 감사와 조사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는 24∼25일 이틀간 국회에서 진행된다. 청문회를 앞둔 소회와 관련해 이 후보자는 “국정 전반을 집약적으로 공부하다 보니 어제는 피로해서 일찍 퇴근했다”며 “최근 몇 십년 사이 초저녁부터 아침까지 잔 것은 어제가 처음”이라고 말했다.김현길 권지혜 기자

hgkim@kmib.co.kr

김현길 권지혜 기자 hgkim@kmib.co.kr

■ 홍준표 “文 대통령 감사 지시는 노무현 자살을 MB 탓 하는 것”


자유한국당 대선 후보였던 홍준표 전 경남지사는 23일 문재인 대통령의 4대강 사업 정책감사 지시를 비판하면서 “그들은 노무현 자살을 MB(이명박 전 대통령) 탓으로 여긴다”고 주장해 논란이 예상된다. 특히 홍 전 지사가 노무현 전 대통령 8주기 추도식이 열린 날 또다시 자살을 언급한 것에 대해 보수진영에서도 비판이 제기됐다.

홍 전 지사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4대강 사업은 치산치수의 전형으로 훌륭한 업적”이라며 “일부 좌파언론과 문 대통령이 합작해 네 번째 감사 지시를 하는 것은 정치적 보복 이외 아무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또 “이런 식으로 나라 운영을 하면 이 정권도 곧 어려움에 처할 것”이라며 “자중하라”고 경고했다. 홍 전 지사는 앞서 올린 페이스북 글에서도 4대강 사업 감사 지시에 대해 “정치적 목적으로 접근하다 보니 시작부터 헛발질”이라고 비판했다.

홍 전 지사는 지난 대선 기간 여러 차례 노 전 대통령에 대해 자살이라는 표현을 사용해 논란을 빚었다. 한국당의 한 의원은 “홍 전 지사의 막말이 대선 이후에도 한국당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고 비난했다.

미국에 체류 중인 홍 전 지사는 이르면 이달 말 귀국해 7월 3일 한국당 전당대회에 출마할 것으로 전해졌다. 홍 전 지사는 경선보다 추대를, 친박계는 추대 불가로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당 초선 의원 43명은 성명을 내고 “과거 회귀적 집단지도체제로의 변경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4대강 사업 감사 지시에 대한 보수진영의 반발은 계속됐다. MB 측의 김두우 전 청와대 홍보수석은 MBC라디오에 출연해 “이 전 대통령 재임 시절에 노 전 대통령이 검찰 수사 도중 불행한 일을 겪어 앙금이 남아있는 것이 아니냐”며 정치보복으로 느끼고 있음을 숨기지 않았다. 정우택 한국당 대표 권한대행(원내대표)은 원내대책회의에서 “노 전 대통령 서거일을 앞두고 한풀이식 보복을 지시한 것 아니냐는 의문이 들지 않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주호영 바른정당 당대표 권한대행(원내대표)도 “정치감사·정치보복으로 흐르지 않을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하윤해 권지혜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