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도농상생 공공급식’ 전국 최초 시행

입력 2017-05-23 21:17
대도시 자치구와 산지 기초 자치단체가 1대1 직거래를 통해 어린이집·복지시설 등에 친환경 농산물을 공급하는 ‘도농상생 공공급식’이 서울에서 첫 발을 내딛는다. 쌀, 잡곡 등 특정 품목을 지자체 간 직거래하는 경우는 더러 있지만 도시와 산지 지자체가 협약을 맺어 공공시설에 식재료를 공급하는 시스템을 구축한 것은 처음이다.

서울시는 강동구와 전북 완주군이 23일 오후 강동구청 대강당에서 업무협약을 맺고 ‘도농상생 공공급식’을 본격 시작한다고 밝혔다. 서울시가 지난해 11월 전국 9개 광역지자체와 도농상생 기반의 공공급식체계를 구축하기로 한 데 따른 첫 결실이다.

협약에 따라 오는 29일부터 강동구 공공급식센터를 통해 완주군에서 생산된 식재료가 구내 88개 어린이집과 복지시설에 공급된다. 공급 대상시설은 강동구에 있는 국공립·민간 어린이집 291곳의 약 30%가량으로, 사업 참여를 신청한 곳들이다.

자치구 공공급식센터를 통해 유통되는 식재료는 잔류농약 등 안전성 검사를 마친 다품종 소량생산 농산물이다. 친환경, 지자체 인증, Non-Gmo(유전자 미변형), 무제초제 사용 농산물 등으로 원하는 날로부터 1주일 전 주문을 받아 공급된다. 완주군에서 생산되지 않는 일부 식재료는 인근 지자체에서 확보해 공급하기 때문에 거의 모든 식재료를 이 방식을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도농상생 공공급식은 5∼7단계의 기존 복잡한 유통구조를 직거래 방식으로 개선함으로써 유통비를 절감하고 건강한 식재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공적조달체계라고 시는 설명했다. 도농상생과 사업 활성화를 위해 물류 유통비는 시가 지원한다.

시는 강동구-완주군 간 도농상생 공공급식 모델을 올 하반기 3∼4개 자치구로 확대할 계획이다. 다음 달 중 사업에 참여할 자치구의 신청을 받고 식재료를 공급할 기초 지자체를 선정하기 위해 산지선정위원회도 구성할 예정이다.

또 내년에는 사업 대상을 15개 자치구로, 2019년에는 25개 모든 자치구로 확대할 계획이다. 공급대상 기관의 친환경 식재료 사용비율도 올해 40%에서 2019년에는 현재 초·중·고 학교습식 수준인 70%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시는 이를 위해 올해 57억원, 내년 185억원, 2019년 291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보희 서울시 친환경급식담당관은 “소비자는 건강한 식재료를 공급받을 수 있고 생산농가는 안정적인 판로를 확보할 수 있는 도농상생 공공급식 사업을 새로운 먹거리 패러다임의 혁신적 사례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