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세종역 무산 가능성 커졌다

입력 2017-05-23 21:02
한동안 세종시와 충북도 간 첨예한 갈등의 요소였던 ‘KTX 세종역 신설’이 무산될 가능성이 커졌다. 사전타당성 조사에서 경제성이 없다고 나왔기 때문이다.

23일 세종시에 따르면 한국철도시설공단의 KTX 세종역 신설 사전타당성 조사 용역결과 비용대비 편익비율(B/C·benefit/cost)이 0.59에 머무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비용편익을 분석해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하는 수치인 B/C는 1을 넘어야 사업 추진이 가능하다.

세종시는 그동안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건설된 ‘실질적인 행정수도’로서의 상징성과 인구 증가 추세를 감안, 세종역 설치의 당위성을 주장해 왔다. 특히 대전 북부권 지역 인구 약 50만명의 배후수요가 있고, 출장을 오가는 전국 공무원들의 교통편익을 위해서도 필요하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

그러나 사전타당성 조사 결과 세종역을 신설할 경우 인근 오송역과 공주역의 수요 감소가 예상되고, 호남선 KTX 통행 시간이 증가돼 비용대비 편익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세종역 신설은 사실상 불투명해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지역구 의원인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의원과 세종시의 추진 노력도 동력을 잃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세종시는 여전히 기대를 접지 않고 있다. 주변 여건 등 상황이 변화할 경우 향후 세종역 신설을 재추진할 수 있을 것이란 얘기다. 세종시 관계자는 “행정수도가 현실화되면 새로운 광역도시계획에 세종역 건설이 들어가야 할 것”이라며 “또 향후 인구가 늘어난 시점에서 타당성조사를 실시할 경우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대전=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