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정부의 첫 외교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강경화(사진) 유엔 사무총장 정책특보가 25일 유엔 근무를 마치고 귀국한다. 강 후보자는 귀국 직후 외교부와 함께 인사청문회 준비에 들어갈 것으로 알려졌다. 북핵 문제와 4강 외교에서의 경험 부족, 자녀의 미국 국적과 위장전입 논란 등이 청문회의 쟁점이 될 전망이다.
정부 당국자는 23일 “강 후보자는 25일 오전 4시10분쯤 대한항공편으로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강 후보자는 23일 오후(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 주유엔 한국대표부가 주최하는 환송 리셉션에 참석한 뒤 귀국길에 오를 것으로 알려졌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강 후보자는 현재 뉴욕에서 유엔 관련 일을 마무리하고 있다. 최대한 빠른 시일 내 귀국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라며 “문재인 대통령이 외교 난제가 산적한 현실을 감안해 외교부 장관 후보자를 다른 각료보다 앞서 지명한 만큼 청문회 준비에 차질이 없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외교부는 강 후보자 내정 발표 직후부터 기획조정실을 중심으로 이력서 작성 등 사전 작업을 해 왔다. 강 후보자는 귀국하는 대로 이들과 합류해 청문회 준비를 본격화할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의 인사청문요청서는 늦어도 다음 주 안에는 국회에 제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강 후보자의 취약점은 자녀의 미국 국적과 위장전입 문제다. 미국에서 태어난 강 후보자의 장녀는 2006년 한국 국적을 버리고 미국 국적을 택했다. 강 후보자의 장녀는 미국에서 고등학교를 다니다 2000년 이화여고로 전학하는 과정에서 친척집에 위장전입한 사실도 있다.
자질 논란도 없지 않다. 강 후보자는 외교부에서 국제기구 국장 등 주로 다자외교를 담당했다. 유엔에서도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 부대표, 인도주의조정국(OCHA) 사무차장보 등 인권 분야에서 활약했다. 한국 외교의 핵심 현안인 북핵과 한·미동맹, 대일 정책 등 양자외교에는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강경화 외교장관 후보자 내일 입국… 청문회 준비 돌입
입력 2017-05-24 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