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체 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강남발(發) 재건축 호황과 해외 수주 강화로 대형 건설사는 승승장구하는 반면 서울 외곽과 지방으로 밀려난 중소·중견 건설사는 미분양이 겹치며 경영 위기를 맞고 있다. 중소업체의 사업구조 다각화 노력뿐 아니라 정부 차원의 보완책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22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15년 기준으로 종합건설업체 가운데 중소기업(3년 평균 매출액 1000억원 이하 기업)은 총 9726개였다. 대기업은 163개사(1.6%)에 그쳤다. 전문건설업체까지 포함한 전체 건설업체 가운데 99.7%가 중소 건설업체로 분류됐다.
종사자 수로 보면 종합건설업 48만5000명 중 62.7%, 전문건설업은 18만2000명의 92.7%가 각각 중소기업에서 일했다. 그러나 1인당 연간 급여액은 대형사의 52.7%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나경연 건산연 부연구위원은 “중소 건설업체의 경우 전반적으로 낮은 노동 생산성과 청년층 구직자들의 중소기업 기피 현상 등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중소 건설업체는 경영난을 호소하는 상황이다. 서울 강남과 수도권 등 재건축 사업장은 대형 건설사가 독식하고 있다. 재건축 조합원들의 브랜드에 대한 높은 선호도 때문이다. 일부 사업장의 경우 조합원들이 까다로운 입찰 조건을 내걸어 대형사의 입찰을 유도하기도 한다. 한 조합 관계자는 “브랜드가 곧 아파트값이기 때문에 낮은 공사비를 제시하는 중견 건설사보다는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건설사를 선택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서울 외곽과 지방으로 떠난 중소·중견사엔 미분양 공포가 커지는 양상이다. 지난달 기준으로 지방 전체 미분양 물량은 4만2513가구를 기록하며 전년 같은 기간(3만545가구)에 비해 40% 가까이 증가했다.
지난해 정부가 ‘가계부채 관리방안’의 하나로 공공택지 공급 제한을 내건 것도 중소 건설사에는 부담이다. 민간택지나 플랜트·해외 사업 등의 다른 기회가 많은 대형 건설사와 달리 공공택지 의존도가 높은 중소 건설사는 도산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해외 시장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 18일 기준으로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건설 수주액은 123억7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시공능력평가순위 1∼10위권 대형 건설사 수주액은 97억1800만달러로 총 수주량의 73.8%를 차지했다. 국내와 해외 모두 대형사가 독식하면서 건설업계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셈이다.
한 중소 건설업체 관계자는 “건설 산업의 쏠림 현상이 더 커질수록 중소 건설사의 관심이 높은 지방의 주택 사업이 힘을 잃을 것”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택지 관련 보완책을 내놓는 한편 해외 수주를 장려할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글=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그래픽=박동민 기자
건설사 98%가 中企… 급여는 대형사 절반
입력 2017-05-22 1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