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앞의 불’ 미세먼지… 지자체도 팔 걷었다

입력 2017-05-23 05:01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 수어장대에서 바라본 서울시내가 미세먼지로 뿌옇다. 최현규 기자

지자체들이 미세먼지 감축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다. 미세먼지 문제가 국민적 관심사인데다 새 정부가 적극적인 의지를 표명하면서 지자체별로 ‘지역맞춤형’ 저감 대책 마련이 핵심 현안으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광주시는 22일 “정부가 오는 6월 한 달 동안 노후 화력발전소를 가동 중단하는 것을 계기로 시민건강을 위협하는 미세먼지 감축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고 밝혔다. 시는 ‘2030 미세먼지 저감 추진계획’을 통해 2020년까지 미세먼지를 5% 정도 줄이고 2030년까지는 15%이상 농도를 낮출 방침이다.

시는 지역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 물질을 막기 위해 디젤차 등의 주행거리 단축을 유도하는 탄소포인트제 도입과 디젤차 조기폐차 등에 주력하기로 했다.

부산시는 최근 부산항을 위주로 한 초미세먼지 개선방안을 마련했다. 시는 정부에 부산항 배출규제지역 지정을 건의하고 부산항 야드 트랙터 100대와 관용선박의 사용연료를 오염물질 배출이 거의 없는 LNG로 교체할 예정이다.

또 대형 선박이 항만에 접안할 때는 반드시 육상 전력을 활용하도록 전력공급 체계도 바꾸기로 했다. 부산항은 지난해 외국 모 유명잡지로부터 초미세먼지 세계 10대 오염 항만에 선정됐었다.

인천시도 인천항에서 대형 선박에 고압의 육상 전력을 공급해 선박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 물질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대전시는 전기차 1000대와 전기이륜차 1000대를 2020년까지 보급하고 노후 경유차 1만대에 저감장치를 달거나 조기 폐차하는 일명 ‘천천만’ 운동을 전개하기로 했다.

대구시는 경유를 사용하는 관내 중장비 중 800대의 동력을 전기엔진으로 교체하는 시범사업을 벌인다. 달서구의 건설·광산용 기계제조업체인 ‘세아이에프’가 ‘중장비 전기엔진 개조기술’로 특허를 받은 뒤 환경부가 공모한 미세먼지 저감사업에 채택된데 따른 것이다. 한정된 공간에서 장시간 일을 하는 굴삭기 등은 전기엔진을 달아도 정상적 작업이 가능하다.

이밖에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3개 지자체는 지난 3월부터 행정·공공기관 차량2부제, 사업장·공사장의 조업단축을 주요내용으로 한 ‘비상 저감조치 발령제’를 시범 실시 중이다.

윤장현 광주광역시장은 “하루가 다르게 대기의 질이 나빠지고 있지만 미세먼지 감축대책은 비교적 허술하다”며 “지자체들도 지역적 특성에 맞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부산·대구=장선욱 윤봉학 최일영 기자, 전국종합 swjang@kmib.co.kr, 사진=최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