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사진) 국무총리 후보자가 문재인정부의 내각 인선과 관련해 “제가 확신을 갖는 분이 있다면 제안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자는 22일 서울 종로구 금융감독원연수원에 마련된 사무실로 출근하면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이 후보자는 “(문재인 대통령을) 직접 만나거나 또는 간접적으로 협의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그렇지 않다면 설명을 듣고 생각해서 의견을 제시할 것이다.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후보자는 ‘제안한 장관 후보가 있느냐’는 질문에는 “제안은 한 바 있다”고 답했다. 그는 “(제안한 사람 중) 김동연 경제부총리 후보자,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는 포함돼 있지 않다”면서도 “세 분 모두 사전 설명은 들었다”고 밝혔다. 지난 21일 내정 사실이 발표된 세 후보자는 유일호 국무총리 권한대행의 제청 대상이지만 청와대가 이 후보자에게도 사전 통보는 했다는 뜻이다.
이 후보자는 ‘총리 인준 전 국무위원 인사제청권을 행사할 수 있겠느냐’는 질문에는 “제가 아직 총리가 아니다. 제청의 권한과 의무가 없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제청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학문적으로 정리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후보자는 “(제청이) 총리가 하자는 대로 다 하라는 뜻이라면 대통령 중심제 헌법 구조가 무너질 것”이라면서 “그렇게 하지 않으면 ‘쇼(show)’라 하고 ‘실질적으로 (권한을) 행사하라’고 한다. 그러면 대통령은 뭐가 되겠느냐”고 말했다.
그가 책임장관제를 도입할 방침이라는 언론 보도와 관련해서는 “(문 대통령이) 책임총리제와 함께 말했던 것 아니냐”면서 “장관 임명이 시작되니 그 말을 다시 한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새로운 얘기는 아닌 것 같다”고 했다.
자녀의 위장전입과 이중국적 논란이 있는 강경화 후보자에 대해서는 “궁극적으로는 의혹이 있음에도 해당 업무를 그에게 맡기는 것이 그래도 낫겠느냐는 ‘비교형량’(서로 상충하는 권리나 이익을 비교해서 더 가치 있는 것을 선택한다는 의미)의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이낙연 “확신 갖는 분 있다면 제안… 총리 제청만 따르면 대통령제 붕괴”
입력 2017-05-23 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