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文대통령 1호 민원은 스텔라데이지호”

입력 2017-05-21 18:22
문재인 대통령이 ‘스텔라데이지호의 사고 원인 규명과 수색’을 1호 민원으로 접수했다. 피해자 가족의 철저한 사고 조사, 수색 전면 재개 요청에 대해 정부는 적극적인 수색과 선박안전관리 시스템 점검을 약속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외부 변수가 많아 피해자 가족의 요구를 현실화하는 데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본다.

하승창 청와대 사회혁신수석은 20일 서울 청운동 주민센터 맞은편에 자리잡은 스텔라데이지호 피해자 가족의 농성현장을 방문했다. 1시간가량 면담을 했다. 광석 운반선인 스텔라데이지호는 지난 3월 31일 우루과이 인근 남대서양에서 침몰했다. 선장, 기관사, 항해사 등 한국인 8명과 필리핀인 16명이 타고 있었지만 필리핀인 선원 2명만 구조됐다.

하 수석은 “스텔라데이지호 침몰 사고는 대통령 취임 1호 민원”이라며 “사고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문재인정부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선박안전관리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점검하고 개혁하는 계기로 삼겠다”고 덧붙였다.

청와대는 관계부처와 협의에 나섰다. 해양수산부는 1차 인공위성 촬영에 이어 추가 촬영을 진행하기로 했다고 21일 밝혔다. 인공위성 사진을 바탕으로 스텔라데이지호에 있던 4척의 구명뗏목 가운데 사라진 1척을 찾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피해자 가족들은 이 구명뗏목에 자신의 가족이 탑승하고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피해자 가족 대표인 허경주(38·여)씨 등은 “청와대가 움직여 다행”이라면서도 “초동 대처를 못한 선사도 문제지만 외교부 등 정부 대응도 미숙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외교부가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사고 상황을 보고하기 위한 문건을 만드느라 뒤늦게 수습에 나섰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비난을 받기도 했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피해자 가족의 요청을 모두 수용하기엔 어려움이 많다고 본다. 사고 해역 수심이 3000∼4000m나 되는 데다 예측 불가능한 너울성 파도가 많다. 이 때문에 사고 원인 규명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한 해양전문가는 “일본의 화물선이 한 달간 서서히 침몰한 사례가 있었는데, 침몰 상황을 볼 수 있었음에도 사고 원인을 밝히는 데 1년6개월이 걸렸었다”고 설명했다.

세종=서윤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