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고 독해진 폭염… 대책도 ‘진땀’

입력 2017-05-22 00:03 수정 2017-05-22 00:57
때이른 무더위가 찾아오면서 지방자치단체에 비상이 걸렸다. 올여름 기온이 20여년만의 최악의 폭염이었던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5월 중순부터 기온이 30도를 웃돌자 잔뜩 긴장한 가운데 폭염 대책을 속속 내놓고 있는 것이다.

21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지자체들은 지난 15일 국민안전처의 범정부 폭염대책 발표 후 앞다퉈 지역에 맞는 폭염대책을 내놓고 있다. ‘폭염 도시’로 불리는 대구시는 자연재난과를 중심으로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오는 9월까지 폭염종합대책을 추진한다.

사회복지사 등 재난도우미 2811명을 확보해 방문과 안부 전화로 노약자, 홀몸노인 등을 보살피기로 했다. 냉방이 잘되고 찾기 쉬운 경로당, 금융기관 등 916곳을 무더위쉼터로 지정했으며 폭염특보 발령 시엔 구·군별로 쉼터 5곳 이상을 방문해 냉방기 정상 가동 여부를 점검하기로 했다.

또 오후 2∼3차례 주요 도로에 물을 뿌리고 클린 로드 시스템과 수경시설을 연장 가동해 도심 열기를 잡을 계획이다. 특히 올해는 쿨링포그(물안개를 뿜어내 주변 온도를 낮추는 시설)를 8곳에 추가 설치하고 물놀이장 2곳도 추가(총 10곳) 운영한다. 시 산하 공공기관 8곳은 옥상에 식물을 심거나 특수 페인트를 칠해 온도를 낮추는 쿨루프 사업에 참여하고 주요 교차로 20곳에는 그늘막 텐트를 설치한다. 공원 등에 아이스박스도 비치할 예정이다.

경북도도 선제적 대응에 나서 농촌지역 폭염피해 예방 홍보를 강화하고 고령자 폭염 예방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도는 홀몸노인 등 7만1421명을 돌볼 재난도우미 1만3182명을 확보해 특별 관리한다. 경북소방본부도 구급대원 844명, 구급차 128대, 펌뷸런스 104대, 펌뷸런스 대원 594명 등을 확보해 폭염에 대비하고 있다.

충남도는 9월까지를 폭염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관리·감독을 강화한다. 24시간 상황관리체계를 유지하고 기상특보 발령 시 비상근무체계로 전환하기로 했다. 재해구호기금을 활용한 냉방비 지원 등도 추진한다. 재난도우미, 무더위 쉼터도 지정해 운영한다. 충남소방본부 역시 ‘폭염 대응 구급활동 대책’을 추진한다.

광주시는 폭염 해결 방안을 공유하고 전략적인 대응 방안 수립을 위해 광주지방기상청과 함께 22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시원한 도시, 미래세대를 위한 안전한 광주’를 주제로 ‘100인 시민포럼’을 개최한다.

대구=최일영 기자, 전국종합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