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새 경제부총리 일자리 창출·양극화 해소 해법 내놔야

입력 2017-05-21 18:39
문재인 대통령은 신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에 김동연 아주대 총장을 지명한 이유에 대해 “위기관리 능력과 과감한 추진력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했다’고 밝혔다. 우리 경제 앞에 불확실성이 산적해 있고, 난마처럼 얽힌 여러 현안을 해결할 적임자로 김 총장을 선택했다는 것이다. 김 후보자에 대해서는 비교적 점수가 후하다. 예산실 출신이면서 재정·기획·금융 등 다양한 분야를 총괄했고 국무조정실장 경험까지 있어 기재부 내부 조직 장악은 물론 부처 간 역할 조정에도 뛰어난 능력을 발휘할 것이란 평가가 적지 않다. 참여정부 시절 국정 마스터플랜인 ‘비전 2030 보고서’를 주도하는 등 현 정부의 경제정책 이념과도 대체로 부합한다.

그러나 새 정부 첫 경제 사령탑 앞에 놓인 현실은 녹록지 않다. 저성장과 양극화, 민생경제 위기 등 한국경제를 압박하는 요인은 한둘이 아니다. 대외적 환경 역시 불투명한 전망이 우세하다. 김 후보자 앞길이 적잖이 걱정스럽다. 문 대통령은 김 후보자에게 “이른 시일 내 위기를 극복하고 일자리와 경제 활력을 만들어내는 게 새 정부의 가장 중요한 국정과제”라고 강조했다. 대통령의 주문에 화답하기 위해서는 김 후보자가 중심이 돼 수출과 투자 불씨를 내수 전반으로 확산시켜야 한다. 우리 사회의 중장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틀을 닦는 일도 중요하다.

특히 일자리 문제는 최우선 당면 과제다. 새 정부 소득주도 성장의 핵심은 일자리다. 문재인정부 경제정책의 성패는 제대로 된 일자리를 얼마나 만드느냐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김 후보자는 일자리 창출 해법을 하루빨리 찾아야 한다. 대학 총장으로서 취업난을 현장에서 경험한 만큼 현실성 있는 대안이 마련될지 관심이 쏠린다. 민간의 일자리 수요 확대 방안을 모색하는 데도 진력해야 한다. 경제 양극화는 김 후보자가 떠안은 또 하나의 지난한 과제다. 성장의 과실이 소수에 집중돼 ‘낙수효과’가 효력을 잃은 지 오래다.

저성장 늪에서 빠져나와 경기를 진작시키고 성장 잠재력을 확충하는 것은 새 정부 초대 경제수장이 맡아야 할 궁극적인 목표다. 김 후보자는 긴 안목과 큰 호흡으로 문재인정부의 첫 경제 지도를 제대로 그려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