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장기 도시발전방향을 새롭게 만든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새 정부 출범에 발맞춰 새로운 대전의 미래상과 발전전략을 담기 위해서다.
대전시는 이를 위해 2013년 수립된 ‘2030년 대전도시기본계획’을 대폭 수정키로 했다. 도시기본계획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도시계획 상 최상위 법정계획으로 도시 관리의 원칙과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이다.
시는 최근의 변화된 도시계획 트렌드와 도시여건을 반영해 토지이용과 교통, 주택 등 공간적·물리적 환경 외에 인구, 산업, 복지 등 사회·경제적 환경 등 도시 전 분야에 대해 방향과 성장전략을 새롭게 구상할 계획이다.
특히 새 정부 출범으로 가시화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특별시 조성과 중부권 원자력의학원, 대전의료원, 국립어린이재활병원 설립, 옛 충남도청 이전부지 활용, 대전권 순환교통망 구축과 도시철도 2호선(트램) 건설계획, 대전교도소 이전 등을 반영해 대전의 현안사업이 적기에 추진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밖에 공원녹지 기본계획의 변경내용과 악취 등으로 시민이 불편해하는 하수종말처리장 이전계획도 도시기본계획에 담을 예정이다.
시는 앞으로 대전의 미래 청사진인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계획의 효율성을 높이고, 시민 모두가 관심을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계획수립 단계부터 다양한 참여방법을 모색할 계획이다. 또 기본계획안이 마련되면 설명회와 전문가·시민 공청회 등을 개최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더불어 시의회의 의견도 청취하고 중앙부처협의 및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 등 행정절차를 거쳐 2018년 12월말까지 ‘2030년 대전도시기본계획’을 확정할 계획이다. 대전시 신성호 도시주택국장은 “이번 도시기본계획 변경 추진을 계기로 시민과 공감할 수 있는 대전의 미래상과 발전전략을 구상할 것”이라며 “대전의 대선 공약사업도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밝혔다.대전=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
대전시, 장기 도시발전방향 새롭게 만든다
입력 2017-05-18 2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