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문재인 대통령의 특사인 문희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8일 도쿄 총리관저에서 회동했지만 최대 현안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각자의 기존 의견을 ‘최소한으로’ 언급하는 수준에 그쳤다. 모처럼 마련된 고위급 회담인 만큼 양측이 충돌하지 않기 위해 애쓴 흔적이 역력했다.
NHK방송에 따르면 문 의원은 회동 뒤 취재진에게 “위안부 문제는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최근 전화했을 때와 동일한 내용으로 서로의 의견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이어 “더 이상 발언은 자제했다”고 덧붙였다. 문 의원이 전달한 문 대통령의 친서에도 위안부 문제는 언급됐지만 ‘재협상’ 단어는 빠진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통령은 지난 11일 아베 총리와의 통화에서 ‘국민 대다수가 위안부 합의를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고, 아베 총리는 ‘국가 간 합의이므로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이날에도 문 의원에게 같은 말을 되풀이했다.
나머지 사안은 양측이 이심전심으로 공감대를 형성했다. 아베 총리는 미래 지향적인 한·일 관계를 구축하자면서 “문 대통령이 이렇게 조속히 특사를 파견해준 게 한·일 관계를 중시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고 평가했다. 또 양 정상의 ‘셔틀 외교’를 부활하자는 문 대통령 제안에 대해서도 즉석에서 “그렇게 하자”고 답했다. 아베 총리는 북핵 문제에 있어선 한국과의 공조를 강화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다만 문 대통령이 대선 때 방북 의사를 밝히고, 개성공단 확장의 뜻을 나타낸 데 대해 ‘너무 빠른 게 아니냐’는 반응을 보였고, 문 의원이 북핵 문제 해결을 전제로 한 발언이라고 설명하자 수긍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성찬 기자 ichthus@kmib.co.kr
아베 만났지만 ‘위안부 문제’ 이견
입력 2017-05-18 18:04 수정 2017-05-18 2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