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전국 정수장의 녹조 대응 태세를 일제 점검한다. 매년 여름철 녹조가 창궐하면서 일부 지역 수돗물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등 우려가 커지는 데 따른 대응 조치다. 문재인 대통령이 4대강 사업으로 녹조 현상이 악화됐다는 인식을 갖고 있어 녹조 대응을 계기로 4대강 사업 전반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 지시가 내려질지도 주목된다.
환경부는 녹조가 발생해도 안전하게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달 말까지 전국 정수장을 점검한다고 17일 밝혔다. 점검 대상은 전국 93개 정수장이다. 한강 42곳, 금강 13곳, 낙동강 26곳, 영산강 12곳 등이다. 지방 환경청과 지방자치단체, 전문가가 참여한다. 운영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규모 정수장 20곳은 컨설팅도 병행할 예정이다.
18일에는 충북 청주정수장에서 녹조 대응태세 모의훈련을 진행하기로 했다. 훈련은 상수원에서 ‘맛과 냄새 유발물질’(지오스민 등)이 대응기준 ℓ당 0.02㎍의 5배 이상 발생한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 진행한다. 분말활성탄 투입 등 단계별 시나리오를 연습할 예정이다.
문 대통령이 국정 역사 교과서 폐기나 미세먼지 대책으로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가동 중단처럼 특단의 조치를 관련 부처에 지시할지 이목이 쏠린다. 문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4대강 사업 때문에 유속이 느려져 녹조가 심해졌다고 평가했다. 보나 댐의 수문을 상시적으로 개방하고, 일부 보를 철거할 수 있다는 입장이었다. 환경부 관계자는 “수문을 개방해 유속이 빨라지면 녹조가 줄어드는 건 입증된 사안”이라면서도 “(문 대통령의 지시를) 예상하고 준비는 하고 있지만 아직 구체화되진 않았다”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녹조 발생해도 수돗물을 안전하게… 전국 정수장 93곳 일제 점검
입력 2017-05-17 1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