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표 용산공원’ 정권 바뀌자 급진전

입력 2017-05-18 05:04
문재인정부 출범으로 용산 미군기지 부지에 공원을 조성하는 사업이 속도를 낸다. 박근혜정부 시절에는 박원순 서울시장이 정부와 대립각을 세웠던 사업이다. 정권이 바뀌자 정부는 8차례 릴레이 공개 세미나를 통한 공원 조성 공론화 작업에 착수했다.

국토교통부는 “19일 첫 번째 공개 세미나를 시작으로, 국민과 함께 머리를 맞대고 용산공원의 미래를 고민하는 ‘용산공원 라운드테이블 1.0’을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첫 세미나의 주제는 ‘용산공원의 재발견’이다. 서울시립대 김영민 교수의 진행으로 라운드테이블의 추진배경과 전체 구성을 살펴보고, 국토부 배성호 공원정책과장의 발제를 통해 기지 내 보존 건축물의 활용을 둘러싸고 촉발된 논란과 앞으로의 이슈를 점검한다. 이어 조경·건축·도시 분야의 비평가로 활동하고 있는 서울대 배정한, 한양대 서현, 서울시립대 정석 교수와 함께 현대 도시공원의 담론과 용산공원의 의미에 대한 심층토의를 진행한다.

용산공원은 생태자연공원으로 조성될 전망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인 지난달 기자회견에서 “용산 미군기지가 반환되면 그곳엔 뉴욕 센트럴파크와 같은 생태자연공원이 조성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앞서 박 시장은 용산공원 조성 계획을 두고 박근혜정부와 정면으로 충돌했다. 박 시장은 지난해 국토부 주도의 용산공원 조성 방안을 강하게 비판하며 “국가공원 위상을 갖추고 온전한 형태로 회복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박 시장은 한미연합사령부, 정부 부처 건물이 공원 내에 포함돼 있어 ‘반쪽짜리 국가공원’으로 전락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국토부는 한미연합사가 2025년쯤 이전할 예정이기 때문에 공원 조성에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다. 결국 국토부는 용산공원 조성계획을 원점에서 재검토한다고 물러섰지만, 정부 주도로 잠정안을 만든 뒤 한두 차례 공청회를 거쳐 결정한다는 입장은 고수했었다.

하지만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한 이후 국토부는 용산공원 조성과 관련해 10회 안팎의 공청회를 열어 국민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했다.

세종=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