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신대 총장 선출 몸살 재연되나… 이사회 vs 교수·학생 등 학내 구성원 갈등 지속

입력 2017-05-18 00:01
1년여 전 총장 선출 과정에서 극심한 내홍을 겪은 한신대(총장직무대행 최성일)에 또 다시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총장 선출 절차를 다시 진행하고 있는 학교법인 한신학원 이사회(이사장 이극래 목사) 측과 학내 구성원들 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17일 재단이사회 등에 따르면 이사회는 19일 회의를 열어 총장 선임 안건을 다룬다. 앞서 이사회는 지난달 말 ‘한신대 제7대 총장 초빙 공고’를 냈고 강성영 강원돈 연규홍 교수 등 3명이 입후보했다.

이극래 이사장은 전화 통화에서 “‘4자 협의회’에서 적법한 절차를 거쳐 복수의 총장 후보자를 추천하면 그 의견을 반영하겠다’는 내용의 이사회 결의 사항을 학교 측에 통보한 상태”라며 “학교의 조속한 안정을 위해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교수와 학생, 직원과 노조 등 한신대 구성원들로 이뤄진 ‘4자 협의회’는 총장 후보 추천 시한인 16일 정족수 부족으로 회의를 열지 못했다. 18일 다시 소집키로 했지만 개최 여부는 미지수다. 대학 관계자는 “이사진과 교수, 학생, 직원들 나아가 소속 교단인 한국기독교장로회(기장) 사이에 남아 있는 불신이 여전하다는 얘기”라고 전했다.

한신대 총학생회 등의 요구안은 사실상 총장 직선제 도입에 가깝다. 기존의 총장선출 방식은 교수협의회와 총학생회, 노조가 후보자 2명씩을 추천하면 교수협의회가 이들 가운데 2명을 이사회에 추천하고 이사회가 결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하지만 지난해 초 채수일 전 총장이 임기를 채우지 못한 채 갑작스럽게 사임하자 총학생회와 교수들은 “학내 구성원들의 의견 수렴 없는 총장 선출 절차 때문”이라며 지난해 3월 자체적으로 총장 후보 투표를 실시한 뒤 결과를 이사회에 전달했다. 그러나 이사회가 3위를 차지한 후보를 총장에 선임하면서 양측 간 갈등이 빚어졌다.

한신대 이사회의 입장은 강경하다. 적법한 절차와 방식을 통해 총장 선임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이사장은 “총장 선임 권한을 갖고 있는 이사회의 자율성이 보장돼야 한다”면서 “기장 총회가 결의한 이사진 총사퇴 요구 등은 자칫 사립학교법의 근간을 훼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현재 기장 총회는 지난해 말 꾸려진 한신대개혁발전특별위원회를 통해 이사회 정관 개정 및 이사 교체 방안 등을 다루고 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