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일리 “北 돕는 나라 공개 지목하고 제재”

입력 2017-05-18 05:00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대사(가운데)가 16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대북 제제와 관련해 한·미·일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왼쪽은 고로벳쇼 일본대사, 오른쪽은 조태열 한국대사다.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대사는 16일(현지시간) “북한을 돕든지, 우리를 돕든지 선택하라”며 “북한을 돕는 나라는 공개적으로 지목하고 그 나라를 제재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그는 핵 프로그램 중단을 전제로 북한과의 대화 가능성을 열어뒀다.

헤일리 대사는 북한의 최근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 발사에 대한 대응을 논의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긴급회의에 앞서 유엔본부에서 조태열 한국대사, 고로 벳쇼 일본대사와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미국은 더 이상 제3국이 북한을 돕는 걸 지켜보고 있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북한을 돕는 나라는 국제사회와 맞서는 꼴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헤일리 대사는 또 “북한과 대화를 하겠지만, 그 전에 북한이 모든 핵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어떤 실험도 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대사는 “문재인 대통령은 북한의 태도 변화가 있어야만 대화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며 “북한 지도부가 국제사회를 상대로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미사일) 도발을 계속하는 것이라면 오판한 것이며 혹독한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말했다.

두 대사가 ‘대화’를 언급하긴 했지만 ‘핵 프로그램 중단’ 및 ‘태도 변화’라는 분명한 조건을 내걸어 실제로 대화가 재개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많다. 다만 헤일리 대사가 북한과의 대화 조건으로 ‘핵무기 폐기’가 아닌 ‘핵 프로그램 동결’이나 ‘핵실험 중단’을 내세운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17일 “북한이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를 중단하는 조치가 있다면 대화 분위기가 많이 진전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대화와 압박 두 가지 수단이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면서 “현재 우선적으로는 북한이 핵과 미사일 실험 중단과 그에 대한 성의를 보이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비공개로 진행된 안보리 긴급회의에서는 ‘제재’와 ‘대화’ 두 목소리가 동시에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안보리 5월 의장국인 우루과이의 엘비오 로셀리 대사는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북한에 대한 안보리 제재안을 충실히 이행해야 하며, 북핵 사태가 평화적으로 해결돼야 한다”고 밝혔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이종선 기자

swc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