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지지 보낸 TK, 새 정부 대응전략 부심

입력 2017-05-18 05:00
경북도가 새 정부 출범에 따른 도 차원의 대응방안 모색을 위해 17일 오후 도청에서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경북도 제공

지난 대선에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21%대의 지지율을 보낸 TK(대구·경북) 지역이 새 정부의 국정방침에 맞춘 대응전략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자칫 새 정부에서 지역 현안이 방치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경북도는 17일 간부 공무원과 외부전문가, 시·군 부단체장, 출자·출연기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새 정부 출범에 따른 대응전략 모색을 위한 대토론회를 열었다.

도는 지난 대선 직전 당시 문재인 후보 측에 총 37조8000억원 규모의 30개 대형 사업을 공약에 반영해줄 것을 요청했지만 후보 측이 약속한 공약은 6개에 그쳤다. 사정에 이렇다 보니 경북도로서는 당장 새 정부의 분야별 정책 기조와 방향을 가늠하고 도 차원의 대응 전략을 구체화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해졌다.

이날 토론회는 새 정부 최대 관심사인 일자리와 4차 산업혁명, 저출산·고령화, 농업 6차산업화, 여성·복지, 원전·에너지, 분권과 통합 등 7대 분야에 걸쳐 새 정부 정책방향과 도 대응 방안 등에 대한 전문가들의 발제와 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발제자로 참석한 전문가들은 “지역을 둘러싼 정책 환경에 많은 변화가 생겼다”고 전제하고 “예전의 접근 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객관적이고도 엄정한 사업 계획과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한목소리로 말했다. 새 정부 정책방향과 기조에 맞는 프로젝트 발굴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데도 의견이 일치했다.

전체 총괄을 맡은 이성근 영남대 교수는 “도 뿐만 아니라 학계와 연구소 등이 함께 거버넌스를 이뤄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도는 새로운 변화에 대응하는 시스템 마련이 중요하다고 보고 국정기획자문위원회에 상응하는 도 차원의 기획자문위원회를 운영할 계획이다.

김관용 경북지사는 “모든 라인을 가동해 정부 부처,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등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해 사업 기획 단계부터 예산 반영까지 선제적으로 대응해달라”고 주문했다.

대구시도 새 정부 출범 후 지역 현안 사업과 예산 챙기기 대응책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시는 지난 11일 회의를 열고 새 정부 출범에 따른 대선공약 국정 과제화 전략보고와 세부 공약별 토의 등을 벌였다. 미래자동차, 물 산업, 대구공항 통합이전 등 13개 맞춤형 공약의 국정과제 반영 방안이 주요 논의 과제였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새 정부 출범 초기 한 달이 향후 5년을 좌우하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공약 이행 대응전략을 짜야한다”고 주문했다.

안동 대구=김재산 최일영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