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말 워싱턴서 韓·美 정상회담

입력 2017-05-16 18:09 수정 2017-05-16 21:13

문재인(왼쪽 얼굴)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이 다음달 말 미국 워싱턴에서 정상회담을 조기 개최하는 방안에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취임 1개월여 만에 이뤄져 역대 정부 출범 후 가장 빨리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이다. 두 정상은 회담에서 한·미동맹 및 북핵 문제 논의는 물론 사드(THAAD),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등 양국 현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16일 정의용 청와대 외교안보 태스크포스(TF) 단장이 매튜 포틴저 미국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과 청와대에서 만나 양국 간 조기 정상회담 개최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윤 수석은 “회담 상세 일정과 의제는 추후 협의할 것”이라며 “두 정상 간 개인적 유대와 우의를 다지는 계기로 삼도록 준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정 단장과 포틴저 선임보좌관은 이와 함께 미국의 대한 방위공약을 재확인하고 북한 도발 억제를 위한 양국 간 노력도 강화키로 했다. 특히 대북정책의 궁극적 목표가 북핵의 완전한 폐기이며 이를 위한 제재와 대화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하기로 했다. 북한과의 대화는 올바른 여건이 조성됐을 경우 추진하며, 목표 달성을 위한 과감하고 실용적인 공동 방안도 모색키로 했다.

문 대통령도 회의장을 찾아 포틴저 선임보좌관과 7분간 면담했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축하 전화에 감사한다. 통화 내용에 매우 만족한다”며 “특사 파견을 통해 전 세계에 굳건한 한·미동맹을 과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과 일본도 우리나라와 양자 정상회담을 타진하는 등 문재인정부의 4강 외교가 본격 시동을 걸었다. 중국 특사로 내정된 이해찬 전 국무총리는 문 대통령과 특사단 오찬에 참석해 “중국에서 문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통화 내용에 대한 좋은 평가가 나왔다”며 “주한 중국대사가 정상회담 조율을 원한다”고 전했다. 이 전 총리는 18일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주석을 예방한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도 7월 독일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문 대통령과 회담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