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적인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역할을 할 국정기획자문위원회 구성안이 16일 국무회의를 통과했다. 위원장은 김진표(사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임명됐다. 부위원장 3명은 각각 민주당 김태년 정책위의장, 홍남기 국무조정실장, 공석인 청와대 정책실장이 맡게 될 전망이다.
김수현 청와대 사회수석은 “김 위원장은 민주당의 국정자문위원장을 맡고 있고, 2003년 참여정부 당시 인수위 부위원장을 맡은 경험이 있다”면서 “전체적인 국정운영 및 국정인수 경험이 풍부한 점을 감안한 인선으로 안다”고 말했다.
통상 인수위가 100명 안팎의 대규모 인원이 참여하지만 국정기획자문위는 3분의 1 수준인 30명 이내로 ‘콤팩트’하게 구성된다. 기획분과와 함께 경제 1·2, 사회, 정치·행정, 외교·안보 등 6개 분과로 구성된다.
국정과제 구체화를 위해 필요한 50일 범위(최장 70일까지)에서 한시적으로 운영된다. 활동 종료 시점에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을 확정·발표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관계부처 1급 공무원으로 구성된 실무위원회 및 지원단도 구성된다. 활동 종료 후에도 국정 자문기구를 지속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특히 통상적인 인수위와 달리 국민이 직접 인수 작업에 참여할 수 있는 ‘국민참여 기구’도 100일간 운영된다. ‘찾아가는 경청단’, ‘국민과의 타운홀 미팅’, ‘온라인 국민참여 플랫폼’ 등의 다양한 참여 방식도 마련됐다. 정책 제안에 참여한 국민들이 대통령비서실 관련 수석비서관 등과 함께 직접 운영위원으로 활동할 수 있다. 청와대는 20일쯤 최종 인선을 발표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조만간 공석인 청와대 정책실장을 임명할 예정이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인수위 역할 ‘국정기획자문위’ 30명 이내로 콤팩트하게 구성
입력 2017-05-16 1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