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정부를 향한 자유한국당의 공세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대선 패배 이후 짧은 침묵을 끝내고 반격 모드로 전환하는 모양새다.
특히 한국당 내부에서는 청와대가 공언한 대로 세월호 참사와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정윤회 문건 파동 사건 등에 대해 재조사에 나설 경우 전면전에 나서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고개를 들고 있다.
정우택 원내대표(당대표 권한대행)는 16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지난 1주일간 새 정부의 국정운영 방식은 일방적 지시와 독주의 연속이었다”고 포문을 열었다. 이어 “아직 청와대 정책실장이나 정책수석, 새 장관 후보자들이 임명되지도 않았는데 중요한 정책을 누구와 상의하고 결정하는 것인지 국민들은 알지 못하고 있다”며 “대통령이 국가 공적 시스템이 아니라 개인의 사적 채널을 이용해 내리는 결정은 아닌지 걱정스럽다”고 주장했다. 비선 실세 논란을 덧칠하려 애쓴 것이다.
또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가동 중단 지시, 비정규직 정규직화 지시 등을 언급하며 “일방적 지시가 연일 쏟아졌지만 제1야당인 한국당은 물론 국회에서 사전에 논의된 바 없다”고 지적했다.
정 원내대표는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지시하고 따르라고 하는 것은 눈앞에 인기만을 쫓는 남미식 좌파 포퓰리즘 국정이 될 수밖에 없다”며 “문재인정부의 일방적 독주, 극단적 좌파 편중 인사, 산타클로스 선물식의 포퓰리즘 정책에 대해서는 강력하게 견제하고 비판하며 때로는 온 힘을 다해 저항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현재 정책위의장은 “경제 활성화, 청년 일자리 창출 등 국민이 먹고사는 문제가 가장 시급한데 국정 교과서 폐지,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등이 업무지시라는 형태로 제일 먼저 공개되는 데 대해 우려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가세했다.
대선 패배 이후 미국에 머물고 있는 홍준표(사진) 전 경남지사는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10년 집권으로 관료화된 당의 조직도 전투적인 야당 조직으로 바꿔야 한다”며 “친북좌파 정권이 자리 잡기 전에 먼저 쇄신하고 변해야 산다”고 주장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
자유한국당 “새 정부 독주” 침묵 끝 공세모드 전환
입력 2017-05-17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