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출범 이후 광주광역시의 다양한 일자리 정책이 주목받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언급한 공공기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는 물론 연봉 4000만원을 뼈대로 한 ‘광주형 일자리’, 여성들의 일·가정 양립정책 등을 시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광주시는 16일 “민선 6기 이후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에 나서 지금까지 772명을 직접 고용했다”고 밝혔다. 지난 2월에는 시 청사의 청소·시설관리·주차 업무 등을 맡은 76명을 정년이 보장되는 공무직으로 전환했다. 2015년 광역단체 최초로 정규직화 시책을 도입했던 시는 연말까지 나머지 696명도 전원 정규직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시는 이날 비정규직 제로화 등 문재인 정부 일자리 정책에 선제적으로 발맞추기 위한 대책회의도 열었다. 광주전남중소기업청과 광주고용복지플러스센터 등 20개 유관기관 관계자 33명이 참석해 일자리 창출대책을 논의했다.
윤장현 광주시장의 핵심공약인 ‘광주형 일자리’ 창출은 신개념의 구조개혁 시도다. 기업이 생산설비 투자와 인력고용에 나서면 전방위적 규제완화를 통해 행정기관이 적극 지원하고 사회통합형 일자리로 지역경제를 활성화한다는 것이다. 연간 62만대 생산능력을 갖춘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에 친환경 자동차 설비를 추가하고 이를 통해 연봉 4000만원 수준의 일자리 1만개를 창출하는 식이다.
하지만 시민들이 주주로 참여하는 제3의 법인설립과 해당 기업의 투자 등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 가야할 길이 멀다는 지적도 나온다. 시는 노동계와 학계 등의 전문가들로 ‘더 나은 일자리 위원회’를 구성해 ‘광주형 일자리’ 실현에 역량을 결집하고 있다.
시가 2016년 1월 설치한 일가정양립지원본부도 모범사례로 꼽힌다. 본부는 경력단절여성과 미취업 여성을 다각도로 지원하는 ‘성평등 광주실현’의 구심점이 되고 있다. 시는 올해 말까지 수요자 중심의 양성평등 5개년 정책을 확정해 내년부터 추진할 방침이다. 윤장현 광주시장은 “‘광주형 일자리’ 등 광주의 일자리 정책이 사회 양극화 해소의 한 가지 대안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비정규직 청산 정책… ‘광주형 일자리’ 주목
입력 2017-05-16 1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