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생활권’이라는 개념을 도입한 새로운 도시계획체계인 ‘서울시 생활권계획’을 발표했다. 통상 ‘우리 동네’ 혹은 ‘우리 지역’이라고 인식하는 범위인 3∼5개 동을 하나로 묶어 생활권으로 이름 짓고 지역 특성과 주민 요구, 균형발전 등을 반영한 생활권 단위 도시계획을 처음으로 수립한 것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15일 ‘서울시 생활권계획’을 발표하고 “도시계획 역사에 있어 또 하나의 획기적인 사건”이라고 소개했다. 박 시장은 “지난 2013년 서울시가 ‘서울미래 100년 도시계획기반’을 선포하고 생활권계획 도입을 약속한 후 4년 만에 결과물이 나왔다”며 “2014년 수립한 ‘2030 서울플랜’을 동네별로 구체화한 것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생활권계획은 서울 전역을 5대 권역생활권과 116개 지역생활권으로 분류하고 도시공간, 주거(정비), 교통, 산업·일자리 등 7개 분야 종합계획을 담은 ‘권역생활권계획’과 지역별 상세계획인 ‘지역생활권계획’으로 구성했다.
5대 권역생활권은 서남권, 서북권, 도심권, 동북권, 동남권이다. 서울시는 이 중 도시개발이 미진한 동북권과 서남권에 지역생활권을 집중적으로 지정했다. 지역생활권이 도심권 11개소, 서북권 14개소에 불과한 반면 동북권은 36개소, 서남권은 33개소나 된다. 동남권은 22개소다. 서울 구석구석을 발전시키고 강남·북 균형성장을 이룬다는 목표에 따른 것이다.
생활권계획에는 도시계획의 이슈, 목표, 전략 등이 담겼다. 예컨대 동북권 권역생활권계획에는 중랑천 발전축 연계, 월계·장안평 지역 일자리 거점 조성 등 26개 목표와 64개 전략이 담겼다. 동북권 내 신내·망우지역생활권의 방향은 ‘배꽃향기에 쉬어갈 수 있는 옹기마을’로 정했으며 신내역 주변 개발 등 5개 목표 10개 전략을 수립했다.
서울시 생활권계획 작성에는 지역 주민 6000여명이 참여했다. 지난 3년간 주민참여단 워크숍 230회, 주민설명회 22회 등을 통해 요구사항을 반영했다. 시는 “동네를 가장 잘 아는 주민들이 참여해서 만든 최초의 도시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 생활권계획은 전문가·시민 공청회, 자치구별 설명회, 관계기관 협의,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오는 10월 최종 확정된다.
시는 생활권계획을 추진하기 위한 수단으로 2030년까지 서울광장 145개 크기(192만㎡)의 상업지역을 추가로 지정할 예정이다. 일자리와 지역경제의 중심이 될 상업지역을 낙후된 동북권(59만㎡), 서남권(40만㎡), 서북권(18만㎡) 위주로 배분해 지역 활성화의 촉매제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그래픽=공희정 기자
서울 洞 3∼5개씩 묶어 도시 구석구석 개발
입력 2017-05-15 2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