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때 도청 탈환 위해 헬기사격” 육본 작전지침 등 軍 문서 첫 확인

입력 2017-05-15 18:40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광주 금남로 전일빌딩에 대한 계엄군 헬기사격은 옛 전남도청 탈환작전 차원에서 이뤄진 것으로 밝혀졌다. 도청 진압작전에 앞서 시민군이 보유한 자동화기를 제압하기 위해 무장헬기 사격을 전개했다는 사실이 육군본부 작전지침 등 군 내부문서에서 최초로 확인됐다.

광주시는 15일 논란이 된 ‘5·18 헬기사격’ 등에 대한 기자회견을 열고 “신군부의 사전 작전계획에 따라 전일빌딩, 옛 전남도청과 광주YMCA 등에 헬기사격을 한 부대는 육군본부 예하 61항공대 202·203대대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5월27일 새벽 4시부터 5시30분 사이 전일빌딩 고층 등에서 자동화기를 설치하고 계엄군과 대치하던 시민군을 향해 당시 UH-1H(일명 휴이·HUEY) 기동헬기 정비사(무장사수)가 사격했다는 것이다.

시는 헬기사격이 80년 5월 22일 오전 8시30분 전두환 등 신군부가 장악한 육군본부에 접수된 ‘헬기 작전계획을 실시하라’는 공식적 작전지침에 의거, 사전에 기획됐다고 설명했다. 작전지침이 접수된 다음날인 23일 육군 참모차장 황영시, 전교사 부사령관 김기석, 기갑학교장 이구호 등의 명령체계에 의해 무장헬기와 전차 동원명령이 계엄군에 하달됐다고 덧붙였다.

시는 그러나 헬기사격 최초 발포 명령자와 헬기 동원규모 등은 구체적으로 파악하지 못해 국가 차원의 진상규명위원회 구성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앞서 시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지난해 9월부터 올해 3월까지 전일빌딩에서 실시한 현장조사를 통해 이 빌딩 10층에서 무더기로 나온 177개 탄흔을 정밀 분석했다. 연구원은 “헬기사격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결론을 담은 최초의 정부기관 보고서를 제출했고 광주시는 5·18진실규명지원단에 전일빌딩 헬기사격 연구분석반을 구성, 3만여쪽의 방대한 자료를 분석해 왔다. 윤장현 광주시장은 “5·18의 진실규명은 국가차원에서 이뤄져야 한다”며 “5월의 뼈아픈 진실을 드러내는 것은 ‘나라다운 나라’를 만드는 시작”이라고 강조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