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의 친환경 에너지정책으로 석탄화력발전소와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이 불투명해지면서 시공을 맡은 건설사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15일 청와대가 원점 재검토를 발표한 9기 화력발전소 가운데 신서천 1호기는 한화건설, 강릉안인 1·2호기는 삼성물산, 고성하이 1·2호기는 SK건설 등이 지분 투자사나 건설사로 참여했다. 9기 모두 이명박·박근혜 정부 당시 건설 허가를 받았다.
새 정부 발표대로 사업이 원점으로 돌아간다면 관련 중소기업과 투자자뿐 아니라 발전사·건설사의 손실이 막대할 것으로 보인다. 기초공사와 부지매입비 등으로 발전소 1개당 들어간 비용은 최소 수천억원으로 추정된다. 이미 공정률이 10%를 넘긴 곳도 있다. 중부발전에 따르면 신서천 1호기의 공정률은 21.63%(12일 기준)에 달한다. 고성하이 1·2호기의 경우에도 이번 달 기준 공정률이 15%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발표한 공정률 기준(10%)을 넘긴 발전소까지 대상에 포함돼 있어 투자자 등의 혼란이 심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원전 사업도 직격탄을 맞았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 노후 원전을 점진적으로 폐쇄하고 신규 원전은 전면적으로 건설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로 인해 현재 공사 중인 신고리 5·6호기 건설계약을 맺은 건설사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신고리원전 5·6호기 주 설비공사는 삼성물산 컨소시엄(삼성물산, 두산중공업, 한화건설)이 맡고 있다. 낙찰가격 1조1775억원 중 삼성물산이 51%, 두산중공업이 39%, 한화건설은 10% 등의 지분을 보유 중이다. 현재 공정률은 27%에 이르지만 발주처인 한수원의 공사취소 시 각 건설사는 지분에 따른 공사대금을 지급받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다.
대규모 비용을 투입한 공사가 원점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건설사들의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원전과 석탄발전소 공사가 중단될 경우 수조원에 달하는 매몰비용뿐 아니라 해당 업체와 정부 간 소송 등 사회적 비용 발생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건설업계, 친환경 에너지 정책 ‘속앓이’
입력 2017-05-15 1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