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가 14일 국무위원 제청과 관련해 “이번주 중 대통령과 협의의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야3당은 팩트 중심의 인사청문 방침을 밝혔다.
이 후보자는 서울 종로구 금융감독원 연수원에 마련된 국무총리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에 첫 출근했다. 그는 일부 장관 내정설을 묻자 “그런 이야기를 듣지 못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수험생의 처지여서 몹시 조심스럽다”며 “어떤 문제든 충분히 파악해서 성실한 청문회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여야 원내대표는 15일 정세균 국회의장 주재로 국회에서 만나 인사청문특위 구성과 일정을 논의할 예정이다. 인사청문회법에 정해진 특위 정수는 13명이다. 의석수에 따라 더불어민주당과 한국당 각 5명, 국민의당 2명, 바른정당 1명으로 구성될 것으로 보인다. 특위 위원장을 놓고 민주당과 한국당의 힘겨루기도 시작됐다.
김선동 한국당 원내수석부대표는 “과거 야당이 하던 식의 반대를 위한 반대는 하지 않겠다”며 “명명백백하게 사실 중심으로, 정공법으로 심사하겠다”고 말했다. 국민의당 역시 역대 총리 후보에 적용됐던 잣대를 기준 삼아 청문회에 임하되 무턱대고 반대하지는 않겠다고 밝혔다.
야당은 정부가 공식화한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방침과 관련해선 세부안을 보고 찬반 입장을 결정하겠다고 했다. 이현재 한국당 정책위의장은 “경기 활성화와 민생을 위한 추경에는 공감한다”며 “다만 세금으로 유지되는 일자리에는 찬성할 수 없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공공일자리 81만개 실현을 위한 추경에는 선을 그었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도 국민 세금으로 공공 일자리를 만드는 데는 부정적이다.
글=권지혜 김경택 기자 jhk@kmib.co.kr, 사진=최종학 선임기자
야3당 ‘이낙연 청문회’ 팩트 검증에 초점
입력 2017-05-15 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