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北 도발 41분만에 보고받고 즉각 NSC 소집

입력 2017-05-15 05:10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에 참석해 굳은 표정으로 한민구 국방부 장관(왼쪽)과 악수하고 있다. 문 대통령 뒤는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청와대 제공
이해찬 전 총리
북한의 기습적인 탄도미사일 발사에 따른 문재인 대통령과 청와대 대응은 신속하게 이뤄졌다. 문 대통령은 미사일 발사 41분 만에 발사 사실을 보고받고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 소집을 지시했다. 한·미·일은 긴밀하게 상황을 공유하며 대북 대응 공조를 모색했다.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은 14일 문 대통령의 관련 움직임을 분 단위로 세세하게 공개했다.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지 22분 후인 오전 5시49분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센터가 임 비서실장에게 관련 사실을 보고했다. 임 비서실장은 즉시 NSC 상임위 소집을 지시한 뒤 오전 6시8분 문 대통령에게 북한의 도발을 보고했다. 문 대통령은 임 비서실장에게 김관진 국가안보실장이 직접 보고할 것을 주문했다.

오전 6시13분 임 비서실장이 김 안보실장에게 이를 전달했고, 김 안보실장은 오전 6시22분 문 대통령에게 보고를 완료했다. 문 대통령은 NSC 상임위를 직접 주재할 뜻을 김 안보실장에게 전달했다.

오전 7시 김 안보실장 주재로 NSC 상임위가 소집됐다. 1시간 후 문 대통령이 직접 회의에 참석, 20여분간 회의를 주재하는 등 NSC 상임위는 모두 1시간30분 정도 진행됐다.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한 지 약 3시간 만에 청와대 대응이 완료된 것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대통령이 주재하는 NSC 회의를 별도로 소집할 수 있었다”면서 “그러나 문 대통령이 상황이 긴박하다고 보고 안보실장이 NSC 상임위를 주재하고 있는 상황에서 회의에 참석했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회의에서 “군은 굳건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어떠한 군사 도발에 대해서도 대응할 수 있도록 철저한 대비태세를 유지하기 바란다”며 “외교 당국에서는 미국 등 우방국, 국제사회와 공조해 북한의 이번 도발에 대한 필요 조치를 취해 달라”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의 발언 이후 이순진 합참의장이 화상으로 상황을 보고했다. 이병호 국가정보원장, 한민구 국방부 장관, 윤병세 외교부 장관, 홍용표 통일부 장관 등이 부처별 대응 방안을 보고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이 오판하지 않도록 도발에 대해서는 단호히 대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군에 대해서는 “우리 군의 한국형 3축 체계 구축 등 북한 도발에 대한 억제력을 이른 시일 내 강화하기 바란다”며 “특히 한국형 미사일방어(KAMD) 체계 추진 상황을 점검해 속도를 높이도록 하라”고 지시했다.

오전 11시40분 김 안보실장은 허버트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요청으로 25분간 전화 협의를 가졌다. 두 사람은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북한이 미사일 도발을 감행한 것을 강력히 규탄했다. 또 확고한 대북 공조 체계를 구축하고 북한 비핵화 노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임 비서실장은 “정부의 대응 과정 역시 국민의 알권리라 생각한다. 간략하게 상황 설명 드리는 게 저희 의무라 생각한다”며 정부 대응 공개 배경을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미·중·일·러와 유럽연합·독일 등에 파견할 특사를 확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특사는 홍석현 전 중앙일보·JTBC 회장, 중국 특사는 이해찬 전 총리, 일본과 러시아는 더불어민주당 문희상·송영길 의원이 각각 파견될 전망이다. 유럽연합과 독일에는 조윤제 서강대 교수가 특사로 갈 것으로 전해졌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