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더 말하면 실수” 코미 해고 관련 발언 잇단 설화

입력 2017-05-14 19:55 수정 2017-05-14 21:19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해임한 제임스 코미 전 연방수사국(FBI) 국장이 13일(현지시간) 버지니아주 맥린의 자택에서 나오고 있다. 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임스 코미 연방수사국(FBI) 국장을 해고한 뒤 잇따라 부적절한 언급으로 사태를 키우고 있다. 공화당 내에서도 트럼프의 입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13(현지시간)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FBI 수장에게 충성맹세를 요구하는 건 문제가 안 된다”고 주장했다. 또 코미 국장에게 충성맹세를 요구했다는 보도에 대해 “그런 요구를 하지 않았다”면서도 “그렇게 묻는 게 나쁜 질문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충성맹세를 요구한다고 해서 부적절한 게 아니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코미와의 대화 내용이 담긴 녹음테이프가 있다는 식으로 언급한 데 대해 “그것에 대해선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전날 트위터에 “코미는 우리의 대화 내용을 담은 테이프들이 없기를 바라야 할 것”이라는 협박성 글을 남겼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1주일 뒤 코미 전 국장과 단둘이 저녁식사를 하면서 충성맹세를 요구했다는 보도로 곤욕을 치렀다. 그는 특히 자신은 ‘러시아 커넥션’ 수사 대상이 아니라고 코미 전 국장이 만찬 때 확인해줬다는 사실도 공개했다.

공화당 소속 리처드 버 상원 정보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더 말하는 것은 실수가 될 것”이라며 “(코미 대화 테이프 관련) 트윗은 부적절했다”고 지적했다. 마이크 펜스 부통령도 코미 국장 해임 사태 전개에 당황하고 있다는 보도도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후임 FBI 국장 인선과 관련, 신속하게 절차를 진행해 이르면 첫 해외 순방을 떠나는 19일 이전에 발표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법무부는 후보자 개별 면접심사에 들어갔다.

노석철 기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