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 시대라는데, 은퇴 준비 1번이 ‘가급적 은퇴 늦추기’인 현실이다. 은퇴 이전 가구가 생각하는 은퇴 연령은 66.9세인데 반해 실제 은퇴 시기는 61.9세로 5년이나 차이가 났다. 은퇴 준비가 부족하다는 응답은 56.6%로 절반을 넘었다.
금융연구원 중소서민금융·소비자보호연구실 김정한 선임연구위원은 통계청의 2016년 가계 금융·복지 조사를 재분석한 결과 은퇴 이전 가구에서 노후 준비가 잘 되어 있다는 응답은 8.8%에 그쳤다고 14일 밝혔다. 아주 잘 되어 있다(1.3%)와 잘 되어 있다(7.5%)를 합친 비율이다. 보통(34.6%)이라거나 비관적(잘 되어 있지 않다 37.3%, 전혀 되어 있지 않다 19.3%) 답변 비율이 월등히 높다.
통계청 가계 금융·복지 조사는 전국 2만 가구를 표본으로 한다. 지난해 3월 기준으로 가구주가 은퇴하지 않은 가구는 83.7%, 이미 은퇴한 가구는 16.3%였다. 은퇴 이전 가구들이 예상한 적정 생활비는 264만원, 최소 생활비는 183만원 정도였다.
노후에 대해 비관적으로 생각하면서도 실제 은퇴 준비는 미진하다. 은퇴 이전 예상하는 은퇴 연령은 66.9세인데 실제는 이보다 5년 빨리 다가오고 있다. 은퇴 돌입 가구에서 생활비가 부족하다는 답변은 60.5%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기초생활보장수급금이나 기초연금 등 나라에서 주는 수혜금으로 생활비를 댄다는 비율이 30.6%로 가장 높았다. 이어 다른 가족의 수입이나 친지의 용돈(28.0%),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22.4%) 순이었다.
반면 개인저축이나 사적연금으로 생활비를 충당한다는 답변은 9.8%에 그쳤다. 은퇴에 대비한 금융자산 축적 없이 가족의 봉양이나 국가의 복지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노인 빈곤율 1위인 한국의 민낯이다.
김 위원은 “노후 준비에 비관적인 이유는 자신들의 미래소득, 자산, 지출 등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거나 합리적으로 행동하지 못한 결과일 수 있다”며 “개인저축 등의 확대를 통한 미래 준비를 위해선 금융 교육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글=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 그래픽=박동민 기자
내가 예상하는 은퇴연령 67세… 실제로는 62세
입력 2017-05-15 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