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 철저하되 신속하게

입력 2017-05-14 17:50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가 14일 서울 종로구 금융감독원 연수원에 마련된 사무실에 처음 출근했다. 청문회 준비에 본격 돌입한 것이다. 지난 10일 총리 후보자로 지명된 그는 출근하면서 “성실한 청문회가 되도록 노력하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청와대는 12일 문재인 대통령 명의로 된 이 후보자 인사청문요청서를 국회에 제출했다.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국회는 청문요청서가 제출된 시점부터 20일 이내에 모든 절차를 마쳐야 한다. 시기적으로 다음 달 1일 이내가 되는 셈이다.

이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갖는 상징성은 크다. 새 정부 내각 인선의 퍼즐을 맞추는 첫 수순일 뿐 아니라 협치의 실현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무대이기 때문이다. 총리 인선 실패가 국정 동력 약화로 이어진 사례는 역대 정부에서 숱하게 반복됐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경우 인수위 시절 초대 총리로 지명한 김용준 후보자가 낙마하고, 2기 내각에선 안대희·문창극 후보자가 잇따라 사퇴하는 ‘인사 참사’가 빚어졌다. 문 대통령도 이를 의식한 듯 “지금은 국정을 안정시켜야 하는 비상 과도기로 유능한 내각, 통합형 내각을 신속하게 출범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자유한국당 등 야당은 이 후보자에 대한 철저한 검증을 예고했다. 이 후보자에 대한 의혹들도 불거진 상황이다.

인사청문회의 본질은 빈틈없는 검증에 있다. 국회는 후보자가 도덕적으로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지, 직무를 수행할 자질과 능력을 갖췄는지 등을 촘촘하게 살펴봐야 한다. 사소한 꼬투리 잡기 등으로 국정 발목잡기를 해서는 안 될 것이다. 후보자는 각종 의혹들을 진실되게 밝히고 검증에 필요한 자료를 가감 없이 국회에 제출해야 한다. 청문 강도는 높이되 장기간의 국정 공백을 조기에 수습해야 한다는 점에서 청문 절차는 신속하게 진행돼야 한다. 진정으로 국가를 위한 청문회가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