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년 만에 집권여당이 된 더불어민주당이 친문(친문재인), 비문(비문재인), 추미애 대표 간 당청 관계 정립을 둘러싼 3각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추 대표는 당의 적극적인 국정운영 참여를 원하고 있고, 친문 진영은 문재인 대통령의 개혁과제 이행을 위한 당의 전폭적인 지원을 주장하고 있다. 추 대표와 친문 진영이 대립하는 가운데 비문 진영도 존재감 입증 경쟁에 나서는 상황이다. 발단은 민주당 인사추천위원 구성 문제다. 추 대표와 일부 지도부는 “당의 주도적 국정 참여를 위해 당과 호흡을 맞출 수 있는 인사가 조각에 적극 반영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 3월 당무위원회에서 당의 인사 추천 권한을 당헌에 명기하기로 결정됐기 때문에 당의 인사 추천은 문제될 게 없다는 논리다. 추 대표와 가까운 한 최고위원은 12일 통화에서 “강제력이 없는 임의조항일 뿐인데 (친문 측이) 왜 반대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반면 친문 진영은 당의 인사추천위 구성이나 적극적 인사 추천에 따른 ‘잡음’이 문재인정부 초반 국정동력 확보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 한 지도부 핵심 인사는 “내각이나 주요 포스트에 대한 인사는 대통령 고유 권한인데, 이를 당이 행사하겠다는 것은 일종의 월권”이라고 말했다.
이날 국회에서 개최된 민주당 당무위는 당헌 개정안을 놓고 논란을 벌였다. 결국 ‘(인사추천) 기구를 설치한다’는 내용과 ‘검증을 거친다’는 문구를 빼고 오는 15일 중앙위에서 당헌 개정안을 의결키로 결정했다. 친문 진영의 의견이 반영된 것이다. 추 대표 측은 그러나 “당무위 의결의 핵심은 당이 추천 권한을 갖는다는 것을 당헌에 못 박은 것”이라며 “추천권이 당무위에 있기 때문에 위원장인 당 대표가 추천권을 갖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향후 인사 추천 과정에서 추가적인 논란의 여지가 남아있는 셈이다.
추 대표가 예고한 전면적 당직 인사도 논란의 중심에 있다. 추 대표는 이미 지난 10일 안규백 사무총장에게 해임을 통보했다. 윤호중 정책위의장을 비롯한 주요 정무직 인사 대부분이 인사 대상이다.
그러나 한 당직자는 “선거에서 졌으면 모를까 선거 승리에 기여한 주요 당직자를 집권 초에 다 바꾸겠다는 것은 결국 ‘추미애 사단’을 강화하겠다는 의도”라고 비판했다. 당 일각에서는 선대위 구성 과정에서 잡음이 생겼던 김민석 선대위 종합상황본부장에게 사무총장직을 맡기기 위한 인사가 아니냐는 말도 나온다. 그러나 추 대표 측은 “여당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인사일 뿐 특정인을 위한 인사가 결코 아니다”고 일축했다.
박영선 변재일 의원 등 대선 후보 경선 직후 탈당설이 돌았던 비문계 의원들도 집권당 내 존재감 부각을 위해 분주히 뛰고 있다. 문 대통령과 추 대표가 입각과 주요 당직 임명 등으로 비문 인사들을 얼마나 포용하는지 여부도 향후 당청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글=최승욱 김판 기자 applesu@kmib.co.kr, 사진=김지훈 기자
친문·비문·추미애 ‘3인 3색’… 당청 주도권 신경전
입력 2017-05-13 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