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 흔적이 대통령 선거 이틀 뒤인 11일 관가(官家)에서 거의 종적을 감췄다. 박근혜정부 정책이나 목표를 담았던 입간판이나 액자 팸플릿 등은 물론 각종 문건에서도 사라졌다. 교육부 보건복지부 등 정부 부처들은 전 정부의 자취를 꼼꼼히 지우면서 새 정권의 인선 작업을 숨죽여 지켜보고 있다.
교육부는 대선 다음 날인 10일 오전 박근혜정부 관련 홍보 인쇄물을 일괄 수거했다. 복도와 사무실마다 비치됐던 박근혜정부 ‘교육개혁 6대 과제’ 입간판, 4대 국정기조가 담긴 액자는 창고 등으로 치워졌다. 교육부 공식 홈페이지도 달라졌다. 메인 페이지의 ‘정부 3.0 정보공개’ 메뉴는 ‘정보공개’로 고쳐졌다. 우측 상단에 있던 ‘희망의 새 시대’라는 박근혜정부의 구호도 사라졌다. 교육부 소개란에 있었던 국정기조, 교육개혁 6대 과제도 삭제했다.
다만 국정 역사 교과서를 홍보하는 인터넷 홈페이지는 여전히 운영되고 있다. ‘올바른 역사 교과서’란 표현도 여전히 남아 있다. 교육부는 곤혹스러운 표정이다. 교육부 폐지론의 도화선이 됐던 정책이고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무용지물이 됐지만, 교육부가 공식적으로 폐기 입장을 밝히지 않았기 때문이다. 홈페이지를 삭제하기도 그대로 두기도 곤란한 입장으로 보인다.
복지부에서도 마찬가지다. 정부세종청사에 붙어 있던 ‘국민행복’ ‘정부3.0’ ‘문화융성’ 등이 담긴 액자·팸플릿 등은 대선이 치러진 이후 종적을 감췄다. 문재인 대통령 당선 직후인 10일 처음 배포된 보도자료에서도 국민행복이라는 박근혜정부의 슬로건 대신 ‘평생친구’라는 복지부 기존 슬로건을 표기했다. 보도자료 상단에는 ‘골든타임 K의료’나 ‘경제혁신 3개년 계획’ 등 전 정부의 주요 정책을 소개하는 엠블럼이 모두 제거됐다. 복지부 관계자는 “장·차관 등은 대외 행사 참여를 자제하자는 분위기가 있다”며 “다음 장관 인선 때까지 국정 공백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내부 업무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도경 김동우 기자 yido@kmib.co.kr
“박근혜정부 흔적 지워라” 부산떠는 교육부·복지부
입력 2017-05-12 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