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위안부 합의, 정서상 수용 못하는 게 현실”

입력 2017-05-11 18:29 수정 2017-05-12 00:13

문재인 대통령은 아베 신조(安倍晋三·왼쪽 얼굴) 일본 총리에게 “우리 국민 대다수가 한·일 위안부 합의를 정서적으로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11일 아베 총리와의 취임 후 첫 전화 통화에서 “위안부 문제를 포함한 과거사 문제는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해 함께 해결해 나가길 바란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아베 총리가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를 위해 위안부 합의를 착실히 이행하길 기대한다”고 언급한 데 대한 답변이었다.

문 대통령 발언은 위안부 합의에 대한 부정적 입장을 일본 측에 공식적으로 전달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후보 시절 한·일 위안부 합의를 재협상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다만 청와대 관계자는 “통화에서 재협상이라는 단어가 직접 언급되지는 않았다”고 설명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시진핑(習近平·오른쪽) 중국 국가주석과 첫 전화 통화를 하고 한·중 관계 전반과 북한 비핵화 방안,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배치 문제 등을 논의했다. 시 주석은 사드 문제를 언급하며 “한국의 새 정부가 중국의 중대 관심사를 존중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중국의 관심과 우려를 잘 알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해 서로 이해를 높여가면서 양국 간 소통이 조속히 이뤄지기를 희망한다”고 답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청와대는 중국 국가주석이 한국 대통령 취임에 대해 축하전화를 한 것은 처음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또 “북핵 문제 해결은 포괄적·단계적 방식으로 진행해야 한다. 압박·제재와 함께 협상을 병행해야 한다”면서 “대북 제재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북한을 핵 폐기를 위한 협상장으로 이끌어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시 주석은 동의와 공감을 표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문 대통령은 아베 총리와 25분, 시 주석과는 40여분 동안 통화했다. 지난 10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통화는 30여분간 진행됐다. 문 대통령은 중·일 정상과의 통화에 이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25분 동안 통화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