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고 싶지만… 청년실업률 11.2%로 역대 최고
입력 2017-05-12 05:04
청년층(만 15∼29세) 실업률이 4월 기준으로 1999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결혼, 자녀출산, 주택 마련 등이 시작돼 소득이 절실한 30대 실업자는 1년 새 20%나 늘었다. ‘일자리 대통령’을 자임하는 문재인 대통령이 확인한 첫 일자리 현황이다. 녹록지 않은 고용 현실이 청년 일자리 문제를 반드시 해결하겠다는 문재인정부의 정책 추진에 속도를 붙일지 주목된다.
통계청은 11일 ‘4월 고용동향’을 발표하면서 지난달 전체 취업자가 2657만7000명으로 지난해 4월보다 42만4000명 늘었다고 밝혔다. 취업자 수의 증가폭 자체는 지난 3월(46만6000명)에 이어 고무적이다. 다만 늘어난 일자리의 상당수는 신규 분양 아파트의 입주 시점이 다가오면서 수요가 늘어난 건설업 일용직에 몰려 있었다. 제조업 취업자는 지난해 7월 이후 시작된 감소세를 지속했고, 자영업자 수도 10만5000명 증가했다.
특히 청년 일자리는 나아질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지난달 청년 실업률은 11.2%로 지난해 4월보다 0.3% 포인트 상승했다. 통계청이 실업자 분류기준을 변경한 1999년 6월 이후 4월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다. 20대는 고용률도 0.2% 포인트 떨어졌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20대의 경우 취업준비 등으로 비경제활동인구로 빠진 이들이 늘어난 것”이라면서 “청년층이 원하는 좋은 일자리가 부족하다 보니 이를 준비하려는 수요가 높아 고용 상황이 더 안 좋아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30대 상황은 더 나쁘다. 지난달 30대 실업률은 4.0%로 한 달 전인 3월(3.8%)보다 0.2% 포인트 올랐다. 30대 실업자 수는 1년 전과 비교할 때 20.4%나 증가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30대의 경우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작된 구조조정 여파가 영향을 미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민간부문의 신규 고용이 극도로 위축된 상황에서 공공부문 주도로 일자리를 늘린다는 새 정부의 정책에 대한 기대감은 높아지는 분위기다. 하지만 당장 일자리 수십만 개를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문 대통령의 공약도 매년 예산을 배정해 단계적으로 늘려 임기 내에 총 81만개를 만든다는 것이었다. 단기적으로 올해 추경이 이뤄지면 1만여명 정도의 신규 채용이 가능할 전망이다.
또한 공공부문 일자리 확대가 소비 진작으로 이어져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기업의 투자로 이어져야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정부 관계자는 “당분간 공공부문 새 일자리를 기다리기 위해 취업준비로 빠질 청년이 더 늘어날 수도 있다”면서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은 종합적이고 장기적 관점에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글=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그래픽=박동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