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DTap), 소아마비(IPV) 예방백신의 국내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보건 당국은 만 4∼6세에 맞히는 추가 접종을 10월 이후로 미뤄달라고 당부했다. 영아 때 1차 접종을 한 경우 예방효과에는 큰 문제가 없다.
질병관리본부는 오는 6∼9월 DTaP-IPV 4가 혼합백신(4가지 감염병 예방)과 IPV 백신 수급이 불안정해 추가 접종을 연기하는 한시적 권고안을 마련했다고 11일 밝혔다.
프랑스 사노피-파스퇴르사는 국내에 단독으로 공급해온 4가 혼합백신에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b형(Hib)’을 추가한 5가 백신(DTaP-IPV/Hib)으로 전환하고 있다. 한국에도 다음달 중 공급 예정으로, 그 과정에서 9월까지 최소 3개월 이상 4가 백신 부족 사태를 겪을 수 있다. 또 IPV 단독백신은 국제 공중보건 위기상황에 따라 국제적 수요가 급증하면서 국내에도 한시적으로 공급이 달릴 수 있다.
권고안에 따르면 1세 미만 영아가 생후 2·4·6개월에 맞는 DTaP-IPV 백신 접종 일정은 기존대로 유지하되 만 4∼6세에 하는 추가 접종은 다소 늦더라도 예방효과가 지속되므로 백신 공급이 원활해지는 10월 1일 이후로 연기하도록 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수입 DTap·소아마비 백신 수급 비상… 만 4∼6세 추가접종 ‘10월 이후로’
입력 2017-05-12 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