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출범 후 처음 열린 수요집회에서 시민들은 문재인 대통령에게 한·일 위안부 합의 파기를 촉구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10일 낮 12시 서울 종로구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1282차 수요집회를 열고 “촛불 혁명으로 탄생한 문재인정부는 즉각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대협은 “2015년 한·일 합의는 피해자의 목소리를 무시하고 역사적 책임을 다하지 않은 합의”라며 “즉각 폐기하고 화해치유재단의 10억엔을 반환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집회에는 시민 100여명이 모였다. 한국염 정대협 공동대표는 “문 대통령은 적폐 청산과 국민 화해·치유를 하겠다고 약속했다”며 “적폐 청산의 1호 과제는 위안부 합의 무효화”라고 촉구했다.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길원옥 할머니도 자리를 지켰다. 한·일 합의 무효를 주장하며 500여일간 이곳에서 평화의 소녀상을 지켜온 ‘소녀상 지킴이’ 최혜련(22·여)씨는 “그동안 소녀상 농성장에 여러 정치인들이 왔지만 그 누구도 위안부 합의 폐기는 안 된다고 했다”며 “새 정부는 지난번처럼 위안부 문제 재협상을 매국적으로 하지 말라”고 당부했다.
박근혜 전 정권은 2015년 12월 28일 위안부 피해자 치유재단을 설립해 일본으로부터 지원금 10억엔을 받기로 합의했다. 문 대통령은 선거운동 기간에 한·일 합의 무효와 재협상을 공약으로 제시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한·일 양국이 책임을 갖고 (합의 내용을)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모든 기회를 활용해 한국 측에 끈질기게 합의 이행을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
한·일 위안부 합의 파기 촉구…새정부 출범 후 첫 수요집회
입력 2017-05-11 0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