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지원” 약속… 평창올림픽 날개 다나

입력 2017-05-11 05:02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월 25일 강원도 평창군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폐회식장 건설 현장을 찾아 안전모를 쓴 채 관계자의 설명을 듣고 있다. 문 대통령은 최순실 국정농단으로 멍든 평창올림픽을 성공 개최할 수 있도록 정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취임함에 따라 최순실 국정농단으로 멍든 2018 평창동계올림픽이 날개를 달 절호의 기회를 맞았다. 문 대통령이 남북대결보다 대화를 강조하면서 북한의 참가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 경우 그동안 국민들에게 외면 받은 평창올림픽에 대한 관심이 제고될 수 있을 것으로 체육계는 보고 있다.

평창올림픽은 지난해 말 최순실 국정농단 여파로 비리의 온상으로 인식돼 예산 삭감과 국민들의 무관심이라는 이중고를 겪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이 대선 기간 세 차례 강원도를 방문해 “새 정부의 국정 제1과제로 평창올림픽을 선정하고 대회지원위원회를 대통령이 직접 챙기겠다”고 약속한만큼 성공 개최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7일 강릉 산불현장을 방문한 자리에서도 “평창올림픽 성공과 경기장 시설 사후 활용을 국가가 책임지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조만간 평창올림픽 지원을 전담하는 범정부 차원의 지원단을 만들 계획이다.

문 대통령은 특히 평창올림픽을 평화올림픽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실제 문 대통령은 지난 1월 평창을 방문한 자리에서 “단순한 올림픽 성공에 그치지 않고 남북 관계를 풀어내고 강원도를 평화자치도로 만들어 가는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북한 선수단 참여, 남북 공동 응원단 구성 등을 통해 평창동계올림픽이 꽉막힌 남북관계를 해소하는 하나의 계기로 만들 계획이다.

나아가 2008년 이후 중단된 금강산 관광 재개도 평창올림픽을 통해 꾀하고 있다. 문 대통령이 지난 1월 밝힌 ‘평화 올림픽 5대 구상’에 따르면 북한 선수단의 금강산 육로를 통한 대회 참가, 금강산 온정리에서 올림픽 전야제 개최 등이 포함됐다. 미국 주도하의 대북 제재가 진행되는 가운데 인류의 제전인 올림픽의 정신을 정면에 내세우면서 국제사회의 거부감을 줄인채 자연스럽게 금강산 관광길을 다시 열겠다는 복안이다.

또 북한 동계스포츠 인프라 활용 방안 협의, 북한 응원단의 속초항 입항 등의 구상 역시 제대로 이행된다면 남북 화해에 상당한 도움이 될 전망이다.

북한도 문 대통령의 이런 ‘통큰’ 정책에 호응할 가능성이 높다. 북한은 남북 긴장상황에서도 체육 분야에선 남북교류를 막지 않았다.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에도 선수단을 파견했고, 지난달 초에도 강릉에서 열린 2017 국제아이스하키연맹(IIHF) 여자 세계선수권 디비전 2 그룹 A(4부리그) 대회에 선수들을 내려 보냈다.

평창올림픽은 또 새 정부가 처음 맞이하는 최대 국제 행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내년 2월 9일 개막하는 평창올림픽은 원래대로였다면 박근혜 전 대통령의 임기에 시작해 다음 대통령 임기가 시작된 2월 25일에 막을 내리게 돼 있었다. 그런데 박 전 대통령 탄핵에 이어 조기대선으로 올림픽 개회식과 폐회식에는 모두 문 대통령이 참석하게 됐다. 문 대통령이 평창올림픽의 중점 가치를 국민 대통합과 화합에 두겠다고 밝힌만큼 새 정부는 대회 성공 개최에 더욱 역점을 둘 것으로 보인다.

평창동계올림픽 및 동계패럴림픽 조직위원회도 기대가 크다. 조직위 관계자는 “새로운 리더십 속에 북한의 참가가 확정되면 평창동계올림픽이 성공 대회가 될 것으로 믿는다”며 “평창동계올림픽이 국민을 하나로 뭉치게 하는 좋은 기회가 됐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글=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 그래픽=박동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