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빈손 퇴임… 깨끗한 대통령 되겠다”

입력 2017-05-10 18:04 수정 2017-05-10 21:27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10일 오후 청와대 본관에 도착, 황교안 국무총리와의 오찬을 위해 계단을 올라가고 있다. 이병주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광화문 대통령 시대를 열겠다”며 “국민과 수시로 소통하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선언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 등 전임 대통령들이 청와대에서 국정을 논의했던 관행을 깨고 정부서울청사가 위치한 광화문에 집무실을 마련해 옮겨온다는 구상이다. 이는 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기도 했는데, ‘불통’ ‘권위’로 상징된 박 전 대통령과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국정을 운영해나가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문 대통령은 국회 본청에서 가진 약식 취임 선서 행사에서 “대통령부터 새로워지겠다. 우선 권위적인 대통령 문화를 청산하겠다”며 “준비를 마치는 대로 지금의 청와대에서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퇴근길 시장에 들러 마주치는 시민들과 격의 없는 대화를 나누겠다”며 “때로는 광화문광장에서 (시민들과) 대토론회를 열겠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오늘부터 구시대의 잘못된 관행과 과감히 결별하겠다”며 “국민들의 서러운 눈물을 닦아드리는 낮은 사람, 겸손한 권력이 되어 가장 강력한 나라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빈손 퇴임’을 공언했다. 그는 “깨끗한 대통령이 되겠다”며 “빈손으로 취임하고 빈손으로 퇴임하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박 전 대통령 탄핵을 언급하며 “불행한 역사는 종식돼야 한다. 저는 대한민국 대통령의 새로운 모범이 되겠다”고 밝혔다.

‘광화문 대통령’ 시대를 열기 위한 준비 절차는 아직 구체화되지 않았다. 정부청사 관리를 맡고 있는 행정자치부 관계자는 “아직은 청와대 이전과 관련해 논의된 것은 없다”며 “장·차관 인사가 이뤄진 뒤 부처 업무보고를 받는 과정에서 구체적인 논의가 오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대선 공약에서 올해 대통령 집무실 이전 계획을 수립하고 내년에 예산 반영을 해 2019년에 이전을 완료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대통령의 의지가 강력한 만큼 시기가 앞당겨질 가능성도 적지 않다.

행자부는 대통령 집무실이 정부서울청사로 이전해 올 경우 비서실과 경호실 등도 함께 올 수밖에 없어 청사 4∼8개층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서울청사는 행자부 통일부 여성가족부 금융위원회 등이 입주해 있는 지하 3층, 지상 19층의 본관과 외교부가 둥지를 튼 지하 6층, 지상 18층의 별관이 있다. 청와대 집무실이 이전해오면 일부 부처는 다른 곳으로 옮겨가야 한다.

문동성 라동철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