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새 내각 인선 때는 대탕평 원칙 지켜져야

입력 2017-05-10 19:06
10일 발표된 이낙연 총리 후보자 등 새 정부의 인선 내용을 보면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갖게 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 총리 후보자 외에 국정원장 후보에 서훈 전 국정원 3차장을 지명했고, 비서실장에는 임종석 전 의원을 임명했다. 다소 파격 인선이긴 하지만 그래서 기대를 더 갖게 한다. 또 친문 패권주의에서 벗어나려 했다는 평가도 받을 만하다. 다만 대탕평 인사라고 하기엔 미흡하다. 능력과 적재적소라는 인사 기본 원칙 외에 조정 능력과 화합을 감안할 때 국민 눈높이에 부합한다고 하기 힘들다. 특히 감동을 주는 인선은 아니라는 지적이 적지 않다.

문 대통령이 강조한 협치의 첫 단추는 인사정책이고, 그 핵심은 계파와 지역을 넘어 화합에 바탕을 둔 대탕평이어야 한다. 이는 시대적 요청이기도 하다. 문 대통령은 후보 시절 책임총리제를 강조한 만큼 총리 인선은 과거 어느 정권 때보다 중요하다. 국회 동의 절차가 남아 있지만 이 후보자는 계파색이 강하지 않다는 평을 받고 있다. 이 후보자는 언론인으로서 21년, 국회의원으로서 14년을 지내 균형감각이 있고 또한 도지사로서 행정 경험까지 갖춰 일단 무난해 보인다. 국민적 갈등과 분열을 치유하고, 때로는 국가를 위해 고독한 결정을 내려야 하는 책임총리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하길 기대한다.

야당은 임 비서실장 임명에 대해 유감을 표시하고 있으나 대통령 비서실장과 비서진에 대통령의 통치철학을 이해하고 뜻을 같이하는 측근을 기용하는 것은 이해된다. 그러나 장관 등 내각 인선은 비서진 인선과는 달라야 한다. 문 대통령 약속대로 논공행상이나 계파, 측근에 매몰되지 않도록 각별히 경계해야 한다.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경제 상황이나 외교안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야를 뛰어넘는 대탕평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