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당선이 확실한 문재인 후보가 시급한 국정 관리를 위해 10일 국무총리 내정자를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내각에서는 어려운 경제상황에 대처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대북정책을 주도한 통일부 장관 인선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문재인정부의 첫 국무총리는 현재까지 베일에 싸여 있다. 문재인 후보가 밝힌 인선 기준은 ‘통합형’ ‘비영남 출신’ 정도다. 이를 두고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내 호남 출신 인사들부터 노무현정부에 몸담았던 인사들까지 모두 거론된다.
여소야대 정국이 현실화된 상황에서 거대 야당의 협조를 구하지 못할 경우 새 정부는 초반부터 격랑에 빠질 수밖에 없다. 박근혜정부도 총리 후보자가 낙마하면서 조각에 난항을 겪었고, 국정 주도권이 흔들렸다.
특히 여당인 민주당은 120석에 불과해 국회 임명동의안 통과를 위한 의석수(과반)에 한참 모자란다. 반면 선거 과정에서 격돌했던 자유한국당과 국민의당, 바른정당 의석수는 160석에 달한다. 총리가 국민적 신망을 받는 인물이어야 하지만 동시에 야당의 거부감도 누그러뜨릴 수 있는 인사여야 하는 셈이다. 대선을 치르는 과정에서 갈가리 찢긴 국론을 통합할 수 있는 ‘화합형 총리’가 거론되는 이유다.
당 내부에서는 호남 출신 총리가 확실시되는 분위기다. 다만 그동안 거론됐던 전윤철(78·전남 목포) 전 감사원장, 박승(81·전북 김제) 전 한국은행 총재, 김상곤(68·광주) 전 경기도 교육감, 송영길(54·전남 고흥) 의원 등 선대위에 참여한 인사들은 다소 멀어지는 분위기다. 선대위 관계자는 “호남 출신 인사 중 통합 능력이 있고 검증을 통과할 수 있는 분들을 중심으로 인선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면서 “계파색이 강하거나 측근으로 분류되는 분은 정부 차원에서 부담이 있을 수 있다”고 전했다.
문 후보는 선거 과정에서 책임총리 구현도 약속했다. 이 때문에 야권의 동의를 받은 총리가 국회와 협의한 뒤 실질적인 인사 제청권을 행사하는 ‘협치형 내각구성’ 방식도 거론된다. 문재인정부가 호남 민심을 기반으로 한 국민의당이나 새로운 보수를 표방하고 있는 바른정당, 진보정당인 정의당 등과의 관계 설정이 중요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민주당이 이들 정당과 전략적 연대에 나설 경우 과반 의석 확보가 가능하다.
기획재정부 장관에는 노무현정부에서 청와대 경제수석을 지냈던 윤대희 전 국무조정실장이 거론된다. 윤 전 실장은 외곽정책그룹인 ‘10년의 힘’ 위원회에 소속돼 있다. 싱크탱크 국민성장 연구소장을 맡았던 조윤제 서강대 교수도 후보군이다.
격변이 예상되는 대북정책을 총괄할 통일부 장관 인사도 관심이다. 우상호 민주당 원내대표와 송영길 의원, 임종석 후보 비서실장 등이 후보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특히 차기 정부는 인사 검증 부담이 큰 탓에 정치인의 입각 가능성이 과거 어느 때보다 높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대표적 친문(친문재인) 의원인 홍영표 의원과 전해철 의원도 각각 고용노동부 장관과 법무부 장관 후보로 거론된다.
하지만 내각 구성 과정에서의 험로는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야권이 지지층 결집을 위한 ‘대여 투쟁’에 나설 경우 타격이 클 수 있다. 다만 야권이 반대로만 일관할 경우 나라 안팎의 위기상황에도 불구하고 ‘발목 잡기 야당’으로 지탄을 받을 수 있다.
강준구 전웅빈 기자 eyes@kmib.co.kr
첫 총리는 ‘화합형’이라는데… 누구일까
입력 2017-05-10 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