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는 한국의 새 대통령이 2015년 체결된 한·일 위안부 합의를 준수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NHK방송에 따르면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9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한국 대선과 관련해 “북한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한국 새 대통령과 한·일, 한·미·일 간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새 대통령과) 가능한 한 빨리 통화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정례 브리핑에서 “일본 정부는 위안부 합의를 착실히 이행할 것을 한국에 끈질기게 요구한다는 방침”이라며 한국 새 정부가 위안부 합의 재교섭을 추진할 가능성에 경계심을 드러냈다.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도 “한·일 양국의 협력과 연대는 북한 문제를 비롯해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불가결하다”며 “새 정부와 위안부 합의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전략적 이익을 공유하는 소중한 이웃나라”라고 덧붙였다.
기시다 외무상은 한·중·일 3개국 정상회의와 관련해 “그간 의장국으로서 정상회의 개최를 제안해 왔다. 중국 등 관계국과 구체적인 일정을 조율하겠다”며 적극적인 추진 의사를 나타냈다.
일본 언론들도 한국 대선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NHK는 위안부 합의와 대북 정책에 대한 후보들의 입장을 전하면서 “유력 후보들 모두 위안부 합의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이라고 우려했다.
또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한반도 배치를 비중 있게 전하면서 “한국 대선 결과는 일본을 포함한 동북아 정세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요미우리신문은 안보와 고용 문제가 이번 대선의 쟁점이었으며, SNS로 전파된 가짜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사드 비용 발언 등이 판세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산케이신문은 “박근혜 전 대통령의 친구 최순실씨의 국정농단 사건의 영향으로 젊은층이 투표를 많이 했다”고 보도했다.
신훈 기자 zorba@kmib.co.kr
[‘韓대선’ 바라보는 일본] “한·일 위안부 합의 새 정부 준수해야”… 권력교체에 ‘불안’
입력 2017-05-09 1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