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대 대통령은 코스피지수의 고공비행과 함께 임기를 시작한다. 시장에선 새 정부의 경기부양 정책이 한국 증시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역대 대통령 재임기간 중에도 경기부양 훈풍이 부는 임기 1∼2년차 때 코스피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8일 사상 최고치를 1거래일 만에 경신한 코스피는 10일 2300선 돌파 시도에 나선다.
9일 한국거래소, 케이프투자증권 등에 따르면 13∼18대 대선 다음 날 코스피지수는 평균 0.2% 정도 떨어졌다. 다만 금융투자업계에선 글로벌 투자자산이 안전자산에서 위험자산으로 옮겨가는 ‘그레이트 로테이션’(대전환) 흐름을 감안할 때 코스피 상승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본다.
특히 새 정부 출범은 기대감을 높인다. 과거 경험을 봐도 그렇다. 13∼18대 대통령 취임 후 평균 코스피 상승률은 임기 1년차(23.18%)와 2년차(26.18%)에 가장 높았다. 케이프투자증권 지기호 리서치센터장은 “새 정부의 경기부양 정책 및 글로벌 경기 개선에 따른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맞물렸다”며 “올해 5월도 과거처럼 좋은 환경”이라고 설명했다.
역대 정부별로 보면 노무현정부 임기 때 코스피 상승률이 173.65%로 가장 높았다. 김영삼정부 시절엔 외환위기로 19.61% 하락해 가장 성적이 나빴다.
여기에다 이번 대선에서 쏟아져 나온 내수활성화 및 4차 산업혁명 관련 공약은 ‘증시 대세 상승론’에 무게를 실어준다. SK증권 한대훈 연구원은 “새 정부에서 내수 및 IT 업종이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외면받아온 중소형 IT 업종이 수혜를 입거나 중국과의 정상회담으로 ‘사드 보복’ 조치가 완화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한 연구원은 “북핵 문제의 컨트롤타워가 재등장한다는 점에서 북한 리스크 영향도 현재보다 줄어들 소지가 충분하다”고 덧붙였다.
다만 4차 산업혁명을 포함한 신산업 정책은 선진국과 신흥국 가리지 않고 경쟁적으로 추진하는 정책이다. 때문에 개별 종목에 투자할 때 신중해야 한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메리츠종금증권 정다이 연구원은 “중국 업체의 경우 같은 기술 수준이더라도 ‘규모의 경제’로 비용을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태양광 사업을 하는 OCI는 신에너지 정책 혜택을 받을 것으로 보였지만 중국발(發) 저가물량 공세에 실적이 급락했다.
변수가 많은 개성공단 재개 등 일부 정책 관련주에 뛰어드는 것도 좌고우면해야 한다. 남북경협주로 분류되는 신원우(61.4%) 제룡전기(18.2%) 인디에프(17.3%) 등은 최근 7거래일간 오름세를 보였지만 급격하게 출렁일 가능성이 있다. 당선인 테마주에 ‘묻지마 투자’ 하는 것도 금물이다.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당선인 관련 테마주는 선거일 직후 4.7% 상승했지만 5일이 지난 후 누적 수익률이 ?7.12%를 기록했다.
코스피의 단기 급등에 따른 부담감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신한금융투자 최동환 연구원은 “코스피의 중기 과열 기준은 2300선으로 볼 수 있다. 기준선을 넘으면 차익실현 후 다시 비중을 늘리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개인투자자들이 뒤늦게 상승장에 뛰어들었다가 외국인과 기관투자가의 먹잇감이 될 수 있다는 경고음도 나온다. 하지만 빚을 내 투자하는 개인은 급격히 늘고 있다. 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4일 기준 코스피·코스닥 신용융자 잔고는 7조2987억원으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글=나성원 기자 naa@kmib.co.kr, 그래픽=이은지 기자
증시 새 지평 기대감… 역대 정부 1∼2년차 상승률 가장 높아
입력 2017-05-10 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