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한국의 새 대통령 선출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한국 배치 결정 이후 악화된 한·중 관계 개선을 기대하는 모습이다.
뤼차오 랴오닝성 사회과학원 한반도연구센터 주임은 9일 관영 글로벌타임스와 인터뷰에서 한국 새 정부의 최우선 과제는 한·중 관계 개선이 될 것이라며 그 열쇠는 사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분석했다. 뤼차오는 “한국과 중국의 무역량은 미국과 일본의 무역량을 합한 것보다 많다”며 “이미 한국은 사드로 냉각된 한·중 관계로 인해 큰 손실을 느끼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 경제계는 새 대통령이 한·중 관계를 개선시킬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놓길 기대하고 있다”면서 “한·중 양자 관계를 개선시킬 많은 카드가 없는 한국으로서는 사드가 중요한 ‘바기닝 칩’(협상수단)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차이젠 푸단대 한국학연구센터 교수는 기고문을 통해 “차기 한국 대통령이 국내적으로 사회분열과 대외적으로 한반도 긴장 완화 및 한·중 관계 개선이라는 도전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우선 한국 사회가 내부적으로 박근혜 전 대통령의 정치 스캔들로 인해 양분돼 있고 침체된 경기도 살려야 하는 과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외교적으로는 현재의 불균형적인 정책에서 벗어나 한반도 긴장을 완화하고 한·중 관계 개선을 위해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이 안보는 미국에 기대고 경제는 중국에 의지하면서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현명하게 외교 전략을 폈지만 사드 배치 선언 이후 균형이 깨졌다”면서 “한국의 새 대통령은 한·중 관계를 올바른 궤도로 돌려놔야만 하고 이것이 국내와 외교적 안정을 이루는 전제 조건”이라고 주장했다.
쑨싱제 지린대 국제관계학 교수는 차이나데일리 논평을 통해 “한국의 새 대통령은 안보와 외교 상황이 전환점에 다가서는 가운데 여러 난제를 갖게 될 것”이라면서도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노력과 한·중 관계 재조정은 가치 있는 일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韓대선’ 바라보는 중국] “사드 문제 풀고 한·중 관계 개선”… 차기정부에 ‘기대’
입력 2017-05-09 1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