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대선’ 바라보는 미국] “트럼프 대북제재 장애물 부딪히나” 새 대북정책 ‘촉각’

입력 2017-05-09 18:36
미국 국무부는 8일(현지시간) 논평을 내고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의 새 대통령과 긴밀하고 건설적이며 깊은 협력관계를 지속해서 유지해 나가길 고대한다”고 밝혔다.

카티나 애덤스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대변인은 “한국 국민들은 대선 과정을 통해 법치와 민주주의에 대한 변함없는 책무를 잘 보여줬다”면서 “한·미동맹은 앞으로도 계속 역내 안정과 안보를 위한 핵심(linchpin)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에 대한 미국의 방위공약은 철통같다”며 “특히 북한의 위협을 방어하는 데 있어 우리의 약속을 지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 언론들은 한국의 새 정부가 트럼프 행정부와 대북 정책을 놓고 이견을 보일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행정부가 대북 제재와 압박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 한국의 새 정부는 남북대화 재개와 개성공단 재가동 등 유화책을 꺼내들 가능성이 많아 한·미 간 갈등이 생길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즐겨보는 보수 성향의 폭스뉴스는 미국인 4명을 억류하고 있는 북한의 도발 위협이 여전한 상황에서 한국의 새 정부와 트럼프 행정부가 대북정책에서 이견을 보일 수 있다고 예상했다.

한국 대선의 높은 조기투표율에도 관심을 보였다. LA타임스(LAT)는 조기투표율이 지난해 총선 때보다 두 배 이상 높은 26%에 달했다며 이는 박근혜 전 대통령을 탄핵한 유권자들의 분노와 새로운 정치를 갈망하는 의지가 높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정경유착 근절과 재벌개혁 등 선거과정에서 드러난 유권자들의 요구를 한국의 새 정부가 어떻게 풀어갈지에 대한 미 언론들의 관심도 적지 않았다. 또 25∼29세 청년실업률이 1999년 이후 가장 높은 8.2%로 나타나면서 젊은층을 위한 일자리 창출이 새 정부의 시급한 과제라고 NYT는 진단했다. LAT는 “분출하는 유권자들의 요구가 워낙 다양하고 후보별 지지가 갈려 새 정부 출범 후 사회통합을 이루는 게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