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닫는다” “살려낸다”… 작은 학교 ‘다른 운명’

입력 2017-05-10 17:00
전국 각지에서 학생 수가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지역별로 소규모 학교의 운명이 엇갈리고 있다. 유구한 역사에도 문을 닫게 되는 곳이 있는가 하면 맞춤형·특성화 교육이나 공동학구제를 통해 활성화되는 학교도 적지 않다.

9일 각 시·도 교육청에 따르면 농촌지역은 물론 도시지역 원도심에서도 학생 수가 급감하는 학교가 늘고 있다. 교육당국은 학교 신설 또는 재배치를 거쳐 적정규모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일부 지역에선 반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광주광역시교육청은 지난달 광주 중앙초를 서석초에, 삼정초를 율곡초와 두암초에 통합하기로 했다. 또 상무·치평중은 치평중, 천곡·첨단중은 첨단중으로 합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개교한 지 100년이 넘은 중앙초 동창회를 중심으로 한 통폐합반대대책위가 꾸려지는 등 반발이 커지고 있다. 학교의 역사성을 간과한 일방적 통합정책이라는 것이다. 삼정초 동문들도 이슈 청원 서명운동에 착수했다. 광주시의회 문태환 의원은 “‘작은 학교 살리기’가 교육감 핵심공약이지만 5년 새 지원예산이 50%이상 줄어들었다”고 지적했다.

광주와 달리 전남과 경남교육청은 광역·공동 학구제를 통해 상호 협력하는 학교 문화를 만들고 있다. 전남교육청은 2015년부터 도시 학생이 주소지 이전 없이 인근 작은 학교로 전학할 수 있는 제한적 공동학구제와 2∼3개 학교가 체험학습·학력제고 프로그램을 공동 수행하는 협동학교군을 운영해 통폐합을 막고 있다. 제한적 공동학구제에는 22개 시·군 중 11곳, 협동학교군 운영에는 22개 지자체가 모두 참여하고 있다.

경남교육청도 과밀 초등학교의 인접 소규모 학교 전·입학을 허용하는 ‘초등학교 광역학구제’ 시범운영에 들어갔다. 진주·밀양·함양 등 3개 교육지원청이 참여했는데 이를 통해 도심 초등학교 12곳의 학생 65명이 인근 농촌 소규모 학교 7곳으로 전학했다.

강원지역에서는 지난해 205개교에 이어 올해 318개교가 다양한 공동 교육과정 운영으로 소규모 학교 살리기에 참여했다. 제주에서는 빈집 정비사업을 벌여 자녀와 함께 이주하는 외지인을 늘리고 있다. 또 당초 60명 기준이던 재정지원 대상 학교를 지난해부터 100명 이하, 6개 학급 이하 초·중학교로 대폭 확대했다.

전교조 관계자는 “학령인구가 감소한다고 학교를 없애면 주민들도 떠나기 때문에 지역공동체가 붕괴되는 건 시간문제”라며 “특성화·맞춤형 교육과정 편성과 공동학구제를 확대해 소규모 학교를 살려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전국종합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