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티銀 지점 폐쇄 싸고 노사갈등 격화

입력 2017-05-08 17:39 수정 2017-05-08 21:26
133개 영업점을 32개로 줄이겠다고 밝힌 한국씨티은행이 노동조합과 재협상에 들어갔으나 합의엔 실패했다. 앞서 씨티은행 노조는 사측에 지점 100개 이상 운영 등을 요구했지만 거절당하자, 조합원의 압도적 찬성(약 94%)으로 파업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씨티은행 노사는 8일 지점 축소 등의 안건을 논의했다. 이날 중앙노동위원회의 조정회의가 예정돼 있었으나 연휴기간 중 사측에서 노조에 “전향적 태도를 보이겠으니 다시 논의하자”고 제안해 협상테이블이 차려졌다.

씨티은행 노조 관계자는 “사측과의 입장차만 확인했다”며 “오는 11일과 15일 두 차례 조정회의를 가진 뒤 16일부터 집단행동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2014년처럼 파업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일단 정시 출퇴근이나 태업부터 시작할 예정이다.

노사 갈등의 핵심은 씨티은행의 차세대 소비자금융 전략이다. 최근 씨티은행은 126개 소비자금융 영업점을 순차적으로 줄여 25개(기업전문영업점 제외)까지 축소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자체적으로 조사한 결과, 고객 100명 가운데 95명 이상이 비대면 채널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지점 유지비 등을 줄이고 디지털 서비스에 역량을 집중한다는 것이다. 대신 WM(자산관리)센터를 늘려 대면채널을 강화키로 했다.

노조는 구성원 동의 없는 일방적 구조조정이라며 반대한다. 비대면 강화 전략은 은행의 공공성을 뒷전으로 하는 ‘디마케팅’(수익이 나지 않는 고객을 밀어내고 우량 고객에 집중하는 마케팅)이라고 비난했다. 노조는 그 증거로 사내 이메일을 공개해 씨티은행이 폐점대상 영업점의 관리비 이체 해지를 지시했다고 지적했다.

노조 관계자는 “관리가 번거로운 관리비를 ‘이전’이 아닌 ‘해지’하라고 지시했다는 점에서 디마케팅의 시작”이라며 “최대 5000여명의 고객이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홍석호 기자 will@kmib.co.kr